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혹독한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앵커>
지금부터는 전문가와 함께,궁금한 점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나오셨습니다.
Q. 리튬 배터리 화재 흔한가?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사실 흔하지는 않다라고 볼 수도 있지만 위험성은 상당히 있다,이렇게 보는 게 맞을 것 같고요.사실 우리가 많이 접하는 리튬 이온 전지,전기차에 들어 가는 리튬 건전지는 이차전지로서 충전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이런 전지인데요.일차전지 같은 경우에는 한 번 충전돼서 사용하고 나면 재충전해서 쓰는 것들이 아니라 그냥 폐기되는 이런 배터리의 특성이 있는데 이럼에도 불구하고 리튬이 들어가서 안에 분리막이 있고 이런 부분들의 손상에 의해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물에 접촉됐을 때 또 폭발의 가능성,이런 위험성들은 충분히 있다 이렇게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Q. 최선의 초동 대처?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기본적으로 리튬이라고 하는 물질 자체에 물이 닿았을 때 수소 가스가 발생을 하고 이런 것들이 가연성 가스다 보니까 화재 현장에서 오히려 폭발에 기여를 하거나 화재에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위험성은 있습니다만,이렇게 배터리화돼서 케이싱이 되어 있거나 혹은 또 소량의 리튬이 있는 경우에 오히려 전체적인 화재 상황들을 봤을 때 물로 꺼도 이런 부분에 영향성이 적다고 판단이 된다면 물로 끄는 방법들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오늘(24일) 화재도 초기에는 이런 현장의 여러 가지 위험성이나 이런 것들 때문에 적극적으로 물로 진압은 안 했었습니다만,혹독한오후 들어서면서 요구조자들도 많이 있는 상황,혹독한그리고 또 배터리에 리튬이 소량 있었다는 이런 상황들을 확인한 이후에는 물로 적극적으로 진압을 해서 어느 정도 진압을 완료한 상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Q. 하천·토양 오염 위험성?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실제로 저희가 제조업에 관련된 여러 가지 공장이라고 하는 용도 같은 경우는 이렇게 리튬 이온 배터리처럼 이렇게 배터리를 만드는 이런 특수한 어떤 특수성에 관련된 시설들을 적용하는 걸 별도로 정의하고 있지는 않습니다.다만 최근 들어서는 전기 저장 시설에 관련된 화재 안전 기준이라든지 이런 것들도 마련되고는 있습니다만 이렇게 개별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또 이제 전기 배터리와 관련된 특화된 소방시설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은 사실 규정화돼 있지 않기 때문에 사실 배터리 생산하는 공정들도 공장에서도 자구적인 노력들이나 이런 것들은 개별적으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Q.인근 주민 대처 방법?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이렇게 화재가 발생한 현장에 아주 가까이 있었던 이런 분들 같은 경우는 직접적으로 이런 연기라든지 유해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위험성들은 어느 정도 있을 수는 있습니다.대부분 그런데 어느 정도 이격이 되어 있거나 또 이런 부분들 이격되어 있는 상황에서 희석이 되는 상황,이런 것들이라면 즉각적인 어떤 위험성이나 이런 부분은 상당 부분 좀 배제해도 되는데요.다만 인근 지역에 이런 그것들이 불안하시거나 또 위험성이 있을 수가 있으니까 이렇게 연기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 창문을 닫아 주신다든지 외출을 자제하신다든지 이런 부분들은 필요하겠고요.또 한편으로는 이런 것들 이상 증상이 있다고 한다면 반드시 진료를 받으셔서 나중에 보상이라든지 이런 것들의 근거를 남겨두시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Q.사후 대응 어떻게?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지금 현재 화재는 어느 정도 진압이 돼서 연기가 더 계속 발생하는 상황들은 아니기 때문에 이미 어느 정도 대부분 희석이 돼서 지금까지 영향을 미친다,이렇게 보기는 어렵고요.다만 오늘 밤이 지나고 나면 대부분 이런 위험성들이나 유해성 같은 것들은 상당 부분 안심하셔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