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됨 됌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갈 길 먼‘전문의 중심 병원’(하)
선제 도입 용인세브란스 가보니
정부는 의료전달체계를 정상화하겠다며 이 같은 의료개혁 방안을 반복해 강조했다.하지만 구체성과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의료 현장과 전문가들의 지적도 나온다.그래서 들여다본‘먼저 온 미래’는 완전한 잿빛도,무지갯빛도 아니다‘환자’를 중심에 놓는,상식적이고 건강한 의료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단초에 가까웠다.
“오늘 열 안 나시고,됨 됌식사도 잘하셨죠?내일 퇴원은 문제없을 거예요.”
지난달 18일 오전 경기도 용인시 용인세브란스병원 13층 병동,전인수(52)씨는 주치의로부터 퇴원해도 좋다고 들었다.원인을 알 수 없는 고열로 병원을 찾았다,증상이 가라앉자 열흘 만에 퇴원이 결정됐다.퇴원 뒤 어떤 치료가 이어질지 설명이 뒤따랐다.전씨가 만난 주치의는 처음 증상을 진단한 내과 주치의 교수가 아니라,입원의학과 경태영 교수(내과)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일반병동 입원 환자 40%는 전씨처럼 주치의가 2명이다.주치의 2명 가운데 1명은‘주 협업 주치의’로,환자를 진료하거나 수술한 진료과 교수다.전씨의 주 협업 주치의는 고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없애는 데 집중했다.또 다른 한명인‘입원 주치의’는 환자에게 다른 증상이 없는지 살펴 검사·처치를 하며,환자·보호자와 면담하고,퇴원 계획을 세운 뒤 외래진료 교수에게 안내한다.소통은 병원 자체 메신저에서 수시로 이뤄진다.경태영 교수는 “환자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채팅으로 다른 진료과와 서로 의견을 주고받아 치료 전략을 수립한다”며 “의무 기록에 메신저 내용까지 자세하게 기록돼,2~3개월 입원한 환자를 교수 4명이 돌아가면서 봐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입원 주치의를 맡는 입원의학과 교수는 모두‘입원 전담 전문의’다.2016년 9월 보건복지부는 관련 시범사업을 시작했고,2021년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됐다.하지만 전국 입원 전담 전문의는 71개 병원에 359명(6월 기준)뿐이다.전문의 1.76명이 1개 병동(45병상)을 책임진다.
사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이러한 선택이 불가피했다.개원 당시 진료를 보고 수술도 하는 전문의 155명이 700여개 병상 입원 환자까지 책임져야만 했다.전공의가 레지던트 9명과 인턴 3명뿐이었기 때문이다.처음엔 국내 대학병원 가운데 처음으로 입원 전담 전문의가 모든 입원 환자를 관리하는 게 목표였다.그러나‘선택과 집중’을 택했다.입원의학과 교수 2명이 1개 병동 입원 환자 45명을 전부 맡아 보기도 했지만,병동 운영 경험과 국외 자료를 종합해 교수 1명당 환자 15명이 적절한 숫자라는 결론에 이르렀다.의사 1명당 입원 환자 20명을 보는 의료법 시행규칙보다 더 적은 환자를 담당한다.
간호사 등 다른 직군과의 협업은 필수다.입원의학과 전담 병동에선 매일 아침 회진이 끝나면,간호사와 진료협력센터 담당자까지 참여한 회의가 열린다.환자 상태와 치료 계획을 공유하기 위해서다.새로 임상 전담 간호사가 배치되면,입원의학과 교수가 최소 2주 이상 교육을 한다.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수습 교육을 마친 뒤에도 분기별로 교육이 추가로 이뤄진다.교육 과정을 수료한 임상 전담 간호사들이 야간·휴일에 교수와 함께 당직 근무를 한다.황지예 임상 전담 간호 파트장은 “간호사가 요청하면 바로 주치의가 돕도록 시스템이 갖춰졌다”고 말했다.당연해 보이지만,간호사의 요청보다 의사의 지시가 우선하는 한국 의료 현장에선 쉽지 않았던 일이다.
새로운 실험들을 거치며 환자 진료의 질은 높아졌다.입원 환자를 중점 관리하기 시작한 2021년 9월 전후로 입원의학과가 담당하는 내과 병동에 있던 환자가 중환자실로 이동한 사례는 51%,심폐소생술이 발생한 사례는 38% 줄었다.환자들의 신뢰도 얻었다.고열로 입원한 전인수씨는 “힘들다고 말하면 피드백을 받기까지 오래 걸린다던데,이곳에선 입원 주치의 교수가 바로바로 답을 해줬다”며 “원래 담당 교수까지 재차 확인해주니,됨 됌안심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지속가능성이다‘비용’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지금은 입원 전담 전문의가 환자를 진료하면,건강보험에서 병원에 하루 2만4천원가량 지급한다.인건비의 50% 정도다.그렇다고 교수 1명당 환자를 지금보다 늘리면,환자 안전과 의료 질을 담보할 수 없다.김수정 교수는 “수술·시술 재료비나 약값도 적정하게 보전해주지 않는 게 현실”이라며 “국가적으로 전문의 중심 병원을 키우려면,건강보험 수가를 넘어 의료 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의료 예산 투입이 별도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의 중심 병원을 이어갈 전공의 교육과 그 결과인 전문의 배출도 시급하다.용인세브란스병원은‘전공의 없는 병원’이 아니다.올해도 의-정 갈등이 생기기 전까지 여러 진료과에 전공의 29명이 있었다.입원의학과도 전문의를 키우기 위해 2021년부터 의과대학생 대상 실습에 나섰다.경태영 교수는 “전공의가 제대로‘수련’하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전공의 교육에 시간을 할애하고,업무를 뒷받침할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며 “그 부분을 입원의학과가 담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전문의 중심 병원은 전공의 없는 병원이 아닌,전공의 교육 시스템을 잘 갖춰 우수한 전문의 양성을 돕는 병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