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드라마 카지노 실존인물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부산 4개구 등 '광역시' 구·군 8곳 '소멸위험' 신규 진입
"해운대구,땅값·임대료 젊은 사람 감당하기 어려워 소멸위험 커져"
소멸위험지역,빈집·독거노인 늘고 일자리는 줄어…"정책적 대응 절실"
[양온하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저출생과 초고령화로 부산광역시가 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섰다.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11개 시군구 중 8개가 광역시에 있었다.광역시도 이제 인구소멸의 위기 단계로 접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에서는 전남의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소멸위험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일자리 격차'도 심화하는 가운데,산업단지 조성과 같은 정책적 노력으로 소멸 위기를 늦출 수 있다는 제언도 나온다.
[한국고용정보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 광역시 첫 '소멸위험지역'…'광역시' 구·군 8곳 신규 진입 28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 수록했다.
분석에 따르면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이어 20∼39세(임신·출산 적령기)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에 그치며 광역시 최초의 '소멸위험지역'이 됐다.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소멸 위험은 커진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1.0∼1.5이면 보통,0.5∼1.0이면 주의,0.2∼0.5면 '소멸 위험',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역은 이번에 진입한 부산을 비롯해 모두 7개다.
전국 평균은 0.615이다.전남(0.329),경북(0.346),강원(0.388),전북(0.394) 등 4개 도가 0.4 미만이다.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은 전남의 경우 전체 인구가 179만8천명으로 10년 전보다 5.1% 감소했고,드라마 카지노 실존인물이 중 20∼30세 여성인구는 23.4% 급감했다.
이에 전체 인구 중 전남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8.7%에 불과하지만,고령인구 비중은 26.4%에 달하는 '가장 늙은 도'가 됐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수가 '저위험'인 1.5 이상인 지역은 전무했다.세종이 1.113으로 가장 높았고,서울(0.810),경기(0.781),대전(0.736)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 28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130곳으로 57.0%를 차지했다.20∼30대 여성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도 57곳이나 있었다.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11개였고,이 중 무려 8개가 '광역시 구·군'이었다.
광역시 구·군은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부산 4개 구,대구 동구,대전 중구·동구,울산 울주군이고,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드라마 카지노 실존인물충북 증평군이었다.
서울을 제외한 광역시 전체 45개 구군 중 소멸위험지역은 46.7%에 해당하는 21개였다.시도별로는 부산이 11개로 가장 많았고,대구 3곳,대전 2곳,인천 1곳이었다.
부산 영도구는 소멸위험지수가 0.256으로 광역시 구 지역 중 가장 낮았다.영도구가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2017년의 인구와 비교하면 20∼39세 여성인구는 11.4% 감소한 반면,65세 이상 인구가 73.5% 급증하면서 소멸위험지수를 떨어뜨렸다.
그동안 광역시 소멸위험 지역은 부산 영도구·동구,대구 서구,드라마 카지노 실존인물대전 중구처럼 재개발이 지연된 '원도심'과 부상 사상구·사하구,대구 서구 등 '노후산업지역'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으로도 확산하는 모양새다.
이 연구위원은 "해운대구 우1·2·3동에는 마린시티로 대표되는 초고층빌딩과 벡스코,세계적인 규모의 백화점 등이 몰려 있어 땅값과 임대료가 젊은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곳에 주거지를 둔 사람의 연령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해운대구 반송1·2동도 소멸위험지수 값이 각각 0.192와 0.194로 20∼30대 여성인구가 65세 이상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이다.반여 2·3동 역시 각각 0.218과 0.269로 고위험 기준에 근접하고 있다.
그는 "이들 지역은 1960∼1970년대 부산시가 시내 수재민과 철거민을 정책적으로 이주시키면서 생긴 곳들로,최근 낙후된 주거·생활환경으로 인해 인구 유출과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촬영 박성제]
젊은 사람 떠나며 양질의 일자리도 줄어…"정책적 대응 필요" 소멸위험 유형에 따른 지난 10년간의 순이동률을 살펴보면 지수가 낮을수록 인구 유출이 더 많았다.
특히 20∼39세 인구순이동률은 소멸위험지수 0.4 미만 지역은 -24.6%,0.4∼0.5 미만 지역은 -18.7%에 이르렀다.
소멸위험도가 높을수록 1인 독거노인가구 비중과 빈집 비율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의 양적,질적 격차도 확인됐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고령인구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전체 고용률은 낮았다.다만 청년고용률은 소멸위험지수 값이 0.4 미만인 지역이 높았는데,대학 등 정규교육을 받기보다는 빠른 시기에 취업을 선택하는 청년층이 많기 때문으로 이 연구위원은 추정했다.
소멸위험지수 값 0.4 미만인 지역의 전문직 비중은 15.4%에 그친 반면에,저숙련직 종사자 비중은 41.9%에 달해 소멸위험도가 높을수록 양질의 일자리도 적었다.
소멸위험지역은 시간이 지날수록 고령인구와 젊은 인구 간 격차가 심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통계청의 인구추계 자료를 가지고 분석해보면 부산의 경우 30년 후 전체인구는 4분의 1 감소하고,20∼30대 여성인구는 절반 이상 줄 전망이다.반대로 65세 이상 인구는 3의 2가량 증가한다.
다만,비슷한 시기에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했다고 하더라도 지자체별로 다양한 경로를 보일 수 있다.
경북 예천군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 전체 인구가 소폭이나마 증가했고,20∼39세 인구 감소율도 다른 소멸위험 지역과 비교할 때 절반 수준에 그쳤다.
경북도청 이전과 신규산업단지 조성 등과 같은 지역발전 정책이 인구감소와 청년 유출을 막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한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지역들이 어떤 경로를 밟아갈지는 지역의 인구 구성과 산업·사회문화적 특성도 중요하지만,중앙과 지역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