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비젼2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행안부 "한반도 단층구조선 2단계 조사 끝나야 외부 표출할 정도 데이터 쌓일 듯"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지진 위험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던 전북 부안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하자 '우리 지역은 과연 안전할까'에 대한 국민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각 지역의 지진 위험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디지털화된 공식 지도는 없는 실정이다.정부는 2017년 시작된 단층 연구 2단계가 마무리되는 2026년 이후에야 지도의 제작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1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현재 지진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공식 지도는 2013년 공표된 '국가지진위험지도' 뿐이다.
이 지도는 과거의 지진 자료와 기록을 통해 지역별로 지진이 얼마나 자주 일어났는지 등고선 형태로만 표기해 내 지역의 지진 위험도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아울러 내진 설계의 기준으로 삼기 위해 지진 위험도 계수를 지역 및 재현주기별로 설정했으나,10년이 넘게 갱신되지 않은 상황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각 지역의 지진 위험도가 5년,디비젼210년이 됐다고 확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춘 위원회에서 5년마다 개정을 검토한다"며 "지난해에도 위원회에서 검토했으나,디비젼2기존 데이터 그대로 가도 된다고 결론이 났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국가지진위험지도'와 별개로 국내 활성 단층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36년까지 한반도 단층구조선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조사는 행안부,디비젼2기상청 등 5개 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고,1단계 영남권 조사를 완료한 후 현재는 2단계 수도권과 충청권 조사를 하고 있다.
행안부는 2단계 조사가 마무리되는 2026년 이후에야,'홍수위험지도'처럼 국민들이 한눈에 자신 지역의 지진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디지털화된 '지진위험지도'(가칭)를 작성할 정도로 데이터가 쌓일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행안부는 '지표의 파열이 있는 단층',디비젼2기상청은 '심부 단층',디비젼2해양수산부는 '해양 단층' 등 각기 다른 단층을 조사하고 있다.
이를 정리해 다양한 단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지도를 만든다면 국민이 자신의 지역 내 단층 및 지진 위험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2016년 경주 지진의 원인이 '내남단층'이라는 것을 알아내는 데 5년이 걸렸을 만큼 단층 파악은 쉽지 않다"며 "각 부처에서 서로 다른 개념의 단층을 조사하고 있으니 각각이 정리되면 모여서 외부에 표현하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조사 결과는 활성단층에 대해 정부와 학계가 인정하는 공식 자료로서 '국가지진위험지도'의 갱신 여부를 판단하는 등 각종 지진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디비젼2 - 슬롯사이트 순위 추천
디비젼2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이를 위해 중국 현지에 공장도 지었다.
디비젼2,무역과 교류가 중요했기에 전근대 동남아 정치체들에선 정치권력과 상업권력이 한몸이었다는 분석도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