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나이키 야구화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상반기 펀드시장 결산
MMF·초단기채로 자금 몰려
국내주식형 상품 출시 저조
하반기 채권형·밸류업도 주목
업계에선 하반기에도 기술주 거품이 꺼질 우려는 없다고 보면서도 채권형이나 밸류업 수혜권을 함께 살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일반 공모펀드 중 올해 상반기 수익률 1위는 '마이다스글로벌리더스성장주(UH)'가 차지했다.유일하게 44%대를 기록했다.'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41.39%),나이키 야구화'KCGI더블리자드'(40.27%)가 뒤를 이었다.30%대 수익을 낸 '마이다스글로벌리더스성장주(H)' '미래에셋AI미국나스닥(UH)' '삼성글로벌반도체' 등도 모두 AI 반도체 테마였다.
상장지수펀드(ETF) 시장도 비슷했다.전체 상품 중 1~3위는 'ACE 미국빅테크TOP7 PLUS레버리지(합성)' 'ARIRANG 미국테크10레버리지iSelect(합성)'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가 차지했다.
레버리지를 제외해도 상위 10개 중 8개가 빅테크 상품이었다.이른바 '서학개미'의 최대 순매수 ETF 역시 '그래닛세어스 1.5X 롱 엔비디아 데일리'(4억6767만달러)였다.
자금은 주로 '파킹'됐다.단기 금융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나 초단기채로 쏠렸다.올해 설정액 증가 절대치로 보면 상위 50개 가운데 MMF가 29개,초단기채 펀드는 6개로 절반을 넘었다.ETF 중에서도 'KODEXCD금리액티브(합성)'가 가장 많은 자금(3조315억원)을 끌어모았다.주도주가 있긴 하나 그 외 마땅한 자산배분 대상이 없던 결과로 해석된다.
공모펀드의 시련은 계속됐다.KG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합산 설정액(MMF 제외)은 107조5099억원이었다.지난해 말 100조원이 붕괴(97조9944억원)된 후 소폭 회복한 모습이다.반면,ETF는 순자산 150조원을 넘어 운용사들이 놓쳐선 안 되는 먹거리로 자리매김했다.상품 수도 863개에 이른다.
무엇보다 운용사들은 '자기 색깔' 찾기 쪽으로 방향을 튼 점이 특징이다.과거 자금 몰리는 상품을 비슷한 구조로 꾸며 내놓는 행태가 많았으나 'TIGER'는 커버드콜,나이키 야구화'RISE'는 채권형,나이키 야구화'ACE'는 빅테크,'SOL'은 월분배형 등 제각각 특색을 갖춰가고 있다.
다만,국내주식형의 성적이 미진하다.'수익률 저조→자금 이탈→출시 동기 약화'라는 고리에 갇혀 공급 자체가 더디다.올해 증시에 오른 해외주식형은 31개,국내주식형은 14개다.2021년만 해도 신규 출시는 국내주식형(48개)이 해외주식형(27개)을 앞섰으나 2022년 28개와 50개,지난해 39개와 51개로 뒤집혔다.
하반기에도 AI와 반도체의 상승장은 이어질 전망이다.일각에서 제기되는 '기술주 거품 붕괴'는 현실화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다.엔비디아를 비롯해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가파르게 오르긴 했으나 사업성이 탄탄하고 독과점 시장인 만큼 대체할 주자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 정상진 주식운용본부장은 "AI 수요 증가 상황에서 디램,낸드 모두 시황 개선이 이뤄질 전망"이라며 "기술주 중에도 아직 상승 폭이 크지 않은 영역이 많아 거품이 꺼질 정도의 우려는 없다"고 전했다.
신한자산운용 박수민 ETF상품전략팀장도 "미국정부를 중심으로 AI산업에 대한 신규 투자가 집행될 것이고,금리인하시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다만,테마는 기존 반도체에서 인프라,소프트웨어 등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 밸류업 정책 영향권에 드는 수혜주를 찾는 작업도 분주해질 것으로 예상된다.정 본부장은 "금리인하 기대는 선반영돼 있어 이에 기대기는 힘들다"면서 "밸류업에 대한 세제 지원,나이키 야구화지수 구성 등 구체적 결과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박 팀장 역시 "세법 개정,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을 담은 밸류업 정책에 집중할 것"을 주문하면서 금리인하시 미국 장기채,배당주,나이키 야구화리츠 등 인컴형 자산으로 눈을 돌려불 것을 권했다.그는 또 "금리인하시 글로벌 해운사들 선박 수주가 증가하면서 산업 전체에 훈풍이 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