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quintus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NH투자證 "헤드라인 물가 2%대 수렴 증거 확인…금리인하 여지 열어둘 명분 충분"
"소수 의견(1명) 출현 가능성에 무게…8월 첫 금리인하 전망"
키움證 "계절 변수로 물가 불확실성 존재…주택가격 반등·가계대출 증가세도 부담"
"美보다 선제적 금리인하 단행하기 어려울 것…韓 첫 인하 시점 10월"
오는 11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됐다.다만 금리인하 소수의견 출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뉘었다.
전문가들은 7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12 연속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만장일치 동결 예상과 소수의견 등장이라는 전망을 엇갈리게 내놓았다.
NH투자증권 강승원 연구원은 8일 보고서를 통해 "7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는 동결되겠지만 금리인하 소수 의견 출현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며 "6월 헤드라인 CPI가 시장 전망치를 크게 하회하며 8월 헤드라인 물가는 일시적으로 2%를 하회할 가능성이 있어 금리인하의 여지를 열어둘 명분은 충분하다는 판단"이라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무게 추가 물가에서 고용으로 이동 중이며 한국의 헤드라인 물가 상승률도 2% 수준으로 수렴할 수 있다는 증거들이 확인되고 있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미국의 6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시장 전망치를 소폭 상회했으나 4월,5월 수치가 총합 11만1000명 하향 조정됐다"며 "이에 3개월 평균 신규 고용은 재무부가 균형 수준으로 제시한 20만명을 하회한 17만7000명을 기록했고,quintus이는 3개월 이동평균 기준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라고 설명했다.
강 연구원은 "금주 발표되는 6월 CPI는 가솔린 가격 전월비 하락,자동차 보험료 보합세 등을 감안하면 5월에 이어 둔화 흐름이 유지될 것"이라며 "7월 FOMC에서 향후 인하 '여지'를 열어둘 가능성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주요국 통화정책 전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은은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22년과 최근 달러/원 환율 급등을 비교했다.한-미 통화정책 차별화는 유사하나 다른 요인들이 차별화를 보이고 있어 2022년 대비 원화 약세 압력이 크지 않음을 지적했다"면서 "한은의 베이스 시나리오 하 정책 차별화 재료까지 약해진다면 한은의 환율 부담은 크게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 연구원은 6월 헤드라인 물가 상승률이 전년대비 2.41%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하회한 점을 언급한 뒤,"금번 물가하락으로 올 8월 물가 상승률은 일시적으로 2%를 하회할 가능성이 부각됐다"며 "근원 물가 상승률이 이미 2.2%인 상황에서 헤드라인 물가상승률도 2% 수준으로 수렴할 수 있다는 증거들이 확인되고 있어 금리인하 '여지'를 열어둘 명분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어 "7월 금통위는 기준금리 동결(3.5%)과 함께 금리인하 소수 의견(1명) 출현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며 "당사는 8월 첫 금리인하 전망을 유지 중"이라고 했다.
반면 '만장일치' 동결을 전망한 의견도 제시됐다.최근 물가 둔화를 고려하면 연내 금리인하 여부를 검토할 수는 있겠지만 견조한 수출,부동산 가격 반등 등을 볼 때 지금 당장 금리인하 필요성은 낮다는 것이다.
키움증권 안예하 연구원은 "한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2.4% 수준까지 둔화된 가운데 여름철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농산물가격 경로 불확실성은 남아있다"며 "최근 기대인플레이션이 여전히 3%의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주택가격 반등 조짐이 기록되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금융안정 또한 고려할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물가 둔화에 따라 실질금리가 높아지면서 정책 긴축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으로 내수의 부진이 예상되는 만큼 점차 금리인하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인 것은 맞다"면서도 "그러나 너무 늦지도,quintus너무 이르지도 않은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언급했던 한은을 고려할 때 8월 금리인하는 다소 이르다"고 강조했다.
안 연구원은 7~8월 여름철에는 농산물 가격의 변동성도 커질 수 있는 계절적 요인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한 뒤,quintus"점차 수요 부진에 따라 근원물가의 둔화 기조가 확인되고 있지만 여름철 계절 변수로 인한 공급측 요인의 물가 상방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면서 "이를 고려해 추가적으로 물가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금리인하를 평가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3%대에서 추가적으로 둔화되지 않고 있는 점도 금리인하 시점을 고민해 볼 요인이다.뿐만 아니라 주택가격의 반등과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부담"이라고 덧붙였다.
안 연구원은 "특히 미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9월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며 "미국 물가 및 고용시장의 둔화 기조를 확인하고 있지만,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물가 수준과 혼재된 지표 속에 그 시점과 인하 강도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 연준의 금리동결 기조에 따른 달러 강세 속에 달러/원 환율이 높게 유지되고 있는 점은 국내 물가에 상방 압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이 미국보다 빠르게 선제적으로 금리인하를 단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7월 소수의견이 등장하더라도 8월 금리인하 논의는 다소 과도하다"고 강조했다.
안 연구원은 "통화정책 변화 시 시장과의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소수의견 등을 통해 사전에 시그널을 줄 필요가 있지만 이미 시장은 금리인하 기대를 일부 반영해왔으며 3.25%의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는 정도로도 이미 시그널링을 해왔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더 나아가 고물가 상황에서 통화 완화 시그널이 기대인플레이션을 재차 자극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하면 소수의견 등장보다 만장일치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며 "첫 인하 시점도 10월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