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삼성 야구 마스코트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외국인 박사 안쓰는 韓 기업
내·외국인 박사간 급여 격차
해외 우수 인재들 韓 떠나가
기업 인식 변화 이끌 수 있는
'패러다임 시프트' 추진 필요
[서울경제]
서울 소재 명문대 교수인 A 씨는 그간 자신의 대학원 연구실에서 20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가르쳤다.같은 학교에 재학 중인 내국인들과 비슷한 수준의 인재였지만 이들 중 국내에 남아서 취업한 학생은 4명에 불과했다.대부분 학생들은 본국으로 돌아가거나 미국 실리콘밸리 등 해외 주요 지역으로 떠났다.A 교수는 “적은 급여와 불안한 고용 등 한국의 근로 환경이 매력적이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우수한 인재들을 국내에서 흡수하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1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에서 첨단산업 분야를 공부하는 외국인 박사 등 우수 인력들 중 60% 이상이 학업을 마친 뒤 한국을 떠나고 있다.
국내 인재 부족 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외 인재들의 유치 뿐 아니라 정착에 힘을 싣는‘패러다임 시프트’가 필요한 시점이다.정부 정책과 처우 개선,삼성 야구 마스코트기업의 인식개선 등이 맞물려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목소리다.
외국인 박사들이 한국을 떠나는 이유는 우선 국내에서 받을 수 있는 급여가 턱없이 적기 때문이다.실리콘밸리 등 주요 지역은 물론 내국인 박사들과 비교해도 급여 수준이 떨어진다.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따르면 이공계(STEM) 분야를 전공한 박사 중 4000만 원 미만의 연봉을 받는 비율은 79.3%에 이른다.이 중 2000만 원 미만의 급여를 받는 박사는 15.7%에 달한다.반면 내국인 박사의 절반가량(47.2%)은 4000~8000만 원 연소득을 올리고 있다.4000만 원 미만은 35.4%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외국인 박사들은 일정 수준 급여가 보장되는 중견 기업들을 목표하고 있지만 정규직 채용은‘하늘의 별따기’다.국내 기업들이 언어·문화 등을 이유로 외국인 채용을 꺼리는 탓이다.
실제 외국인 박사들 중 많은 수는 단기 계약직이나 프로젝트 기반으로 일하고 있다.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박사급 인력 한 명을 키워내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지만 한국에서 받을 수 있는 대우는 내국인 대졸자보다 못할 때가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언어‧문화적 장벽이 있을 뿐 아니라 국내의 폐쇄적인 문화 탓에 일종의 차별마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인재 정착을 위해 기업의 인식변화를 이끌만한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현재 법무부는 영주권·국적 취득 단계를 줄인‘과학·기술인재 영주·귀화 패스트트랙’을 시행하는 등 인재 유치를 위한 제도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과거 6년(5단계) 이상 소요되던 영주권·국적 취득 절차를 3년(3단계)으로 간소화한 것이 제도의 골자다.연구유학생(D-2-5) 비자와 연구원(E-3) 비자도 기존에‘3년 경력’기준을 삭제하는 등 대상을 확대한다.2027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0만명을 유치하겠다는‘스터디 코리아 300K 프로젝트’일환이다.
김태환 한국이민정책학회 명예회장은 “정부가 우수 인재 유치를 이민 정책의 첫 번째 단추로 생각하고 여러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 것이 사실"이라며 "많은 외국인 인재들이 국내에 체류하고 싶어하는 만큼 기업들의 인식을 바꿀 만한 구체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