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니시오카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한국은행은 오늘(26일)‘2024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2022년 하반기와 최근 환율 상승기의 대내외 여건을 비교하며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2022년과 2024년 환율 상승기 모두 미국과 다른 선진국 간의 통화정책 차별화로 미 달러화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이며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위험자산 투자 심리,니시오카지정학적 위험,엔화와 위안화 약세 등의 대외여건에는 차이가 있다고 짚었습니다.
먼저 2022년에는 인플레이션 급등으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면서 세계 금융 여건과 투자 심리가 크게 약화됐지만 올해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에도 미국의 견조한 성장 전망으로 인해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유지됐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경기 부진 우려와 지정학적 위험 고조로 인한 위험 회피 심리 확대 등을 통해 미 달러화 강세에 기여한 것과 달리 최근 중동분쟁은 확전되지 않으며 2022년보다 에너지 가격과 투자 심리에 미친 영향이 상당히 적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최근 수년간 원화의 엔화,니시오카위안화와 동조화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2022년과 올해 원 달러 환율 상승기에도 주변국 통화 약세가 원화 약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한은은 평가했습니다.
차이점은 2022년에는 엔화와 위안화가 모두 큰 폭 약세를 보였지만,올해 들어서는 엔화만 크게 절하됐다는 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내 여건도 2022년과 2024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2022년에는 반도체 경기 부진 등으로 하반기 성장률이 둔화되고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한 반면 올해는 글로벌 반도체 경기회복에 힘입어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며 국내 경기 여건이 개선됐고 이는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금융시장 불안이 2022년 하반기 해외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극하며 원·달러 환율 상승 요인이 된 것과 달리 올해 들어서는 금융시장이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차이로 분석됐습니다.
거주자의 해외 투자 측면에서는 2022년 당시 글로벌 주가 하락 등으로 투자자금 증가폭이 빠르게 줄어들다가 10월에 회수된 반면 올해는 미 증시가 호조를 보이며 국내 개인투자자의 해외 증권투자가 크게 증가하며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한은이 본 원·달러 환율 상승 변수는?
보고서는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폭이 미 달러화지수의 상승폭을 웃도는 것은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 지속,니시오카중동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및 에너지 가격 상승 우려,일본의 통화정책 정상화 지연 등의 영향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주요 투자은행들은 원·달러 환율이 연말까지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원화 약세 요인이 다시 강화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한은은 그 배경으로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중동 지역 분쟁 재점화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 등을 꼽았습니다.
엔화 및 위안화가 추가 약세를 보일 경우에도 원화 약세 요인이 다시 강화되며 원·달러 환율 상승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