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야구】- 2018 러시아 월드컵 시청률
미국야구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쾌적한 도시,제주 숲 프로젝트①]
제주도 도시숲 정책이 달라졌다
편집자 주
도시가 달군 팬처럼 뜨겁다.여름은 겨우 시작인데,낮 기온은 30도를 웃돈지 오래다.그래도 거리에 나무가 있어 사람들은 잠시 숨을 돌린다.
한여름 가로수는 도시의 휴식처다.여러 겹의 가지가 촘촘히 햇빛을 막고,
미국야구시원한 공기를 내뿜어 주변을 쾌적하게 한다.사람을 걷게 하고,폭염과 폭우가 주는 충격을 완화한다.
제주도가 나무를 다시 생각하기 시작했다.도민·기업과 손 잡는 방식으로 녹지정책의 패러다임도 바꿨다.국민일보는 달라진 제주도 도시숲 정책을 살펴본다.우리보다 앞서 기후변화를 경험한 호주 멜버른의 고민과 이 도시의 녹지정책도 함께 들여다본다.
“여보,어때?여기 조금 더 밟아야 할까?”
“너무 밟으면 뿌리가 상한대.옆으로 하나를 더 심자.”
지난 8일 제주 모충사 앞 작은 공원에 비옷 입은 사람 무리가 눈에 들어왔다.토요일 오전,모처럼 늦잠을 잘 만도 한데 더운 날씨에 비옷까지 껴입고 한 손에 삽을 들었다.사람들은 땅을 파고 묘목을 심었다.배롱나무,
미국야구산딸나무,이팝나무….평소 같으면 나무 종류를 구분하는 일에 관심을 둘 리 없었겠지만,이날은 달랐다.직접 돈을 지불해 묘목을 사고 모두를 위한 공원에 심기로 했기 때문이다.진흙이 신발에 달라붙어 제대로 움직이기도 어려웠지만,사람들은 상기된 표정으로 뿌듯함을 감추지 못했다.비 덕에 삽질은 한층 수월했다.
지난달 8일 제주 모충사 앞 공원에서 헌수를 기증한 도민이 직접 나무를 심고 있다.나무에는 기증자의 이름과 수종 등이 적힌 팻말이 부착된다.문정임 기자 이날 모인 사람은 도청 공무원을 포함해 40명가량.제주도가 처음 추진한 도민 참여 수목 헌수 프로젝트에 84명이 신청했고,이 중 절반이 직접 심겠다며 동참했다.현장에는 아이와 참여한 가족이 많았다.여섯 살 두 아들과 이곳을 찾은 한 아빠는 나무가 아이와 함께 커가는 게 의미 있을 것 같아 신청했다”며 “굉장히 색다른 경험”이라고 즐거워했다.이 가족은 아이들 키와 비슷한 애기동백을 심었다.나무엔 두 아이의 이름이 적힌 팻말이 걸렸다.가족은 손바닥만 한 팻말에‘자연아,고마워’라는 문구도 같이 새겨 넣었다.
지난달 10일 가로수 입양제에 참여한 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 직원들이 가로수 주변을 정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이날 제주도 낮기온은 29.2도로 올해 들어 가장 무더웠다.문정임 기자지난 10일 제주는 한낮 기온이 30도에 육박했다.차량 온도계는 31도를 가리켰다.노형동 롯데마트에서 제주일고 교차로에 이르는 동쪽 도로변에 노란 조끼를 입은 사람들이 부지런히 화단을 정비하고 있었다.올해 들어 가장 더운 날 가로수 정비에 나선 이들은 도로교통공단 제주지부 직원들.모두 40명이 신청해 12명이 첫 봉사에 나섰다.
이들은 식수대 빈 곳에 백일홍과 샐비어를 심었다.먼나무 가로수가 한층 화사하게 변신했다.한 시간 남짓 주운 쓰레기는 두 포대나 됐다.작업 중 기자와 만난 양미라 과장은 “사회공헌활동을 고민하던 차에 제주도의 반려 가로수 사업을 알게 돼 신청했다”며 “도로에 차만 있는 줄 알았는데 나무가 있었다.앞으로 월 2회 정도 이곳에서 가로수를 살필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10일 인예어린이집 원아와 교사들이 시민복지타운 인근 가로수 주변에서 쓰레기를 줍고 있다.올해 제주도가 첫 추진한 가로수 입양제에는 총 12개팀이 참여하고 있다.제주도 제공이날 오전 제주시 청사로 시민복지타운 거리에선 인예어린이집 아이들이‘1일 나무 엄마’가 됐다.초록색 장갑을 끼고,나무 주변에 떨어진 비닐과 플라스틱 컵을 주웠다.현장에 함께 한 홍경아 제주도 산림녹지과 직원은 “제주도가 처음 시작한‘반려 가로수 입양사업’에 여러 단체가 신청했다”며 “부서의 업무라고만 생각했는데 도민들이 참여해 함께 하니 왠지 모르게 가슴이 벅차다”고 말했다.
나무를 생각하기 시작한 도시
제주도가 올해 도시녹지정책의 방향을 새롭게 설계했다.예산이 확보되면 업체를 선정해 기계적으로 공사를 발주하던 공공 위주의 시스템을,도민과 함께 심고 가꾸는 형태로 전환했다.정원 확대,기부 숲 조성,가로수 입양 등 올해 총 7개 사업에 민간을 파트너로 참여시킨다.
앞서 여섯 살 형제가 참여한 헌수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도민이 직접 묘목을 구입해 기증한 나무로 숲을 조성한다.산림조합에서 마음에 드는 나무를 선택해 돈을 내면 사라봉공원 인근 유휴공간에 식재하는 방식이다.직접 심을 수도 있고,나무만 기증할 수도 있다.
사라봉은 원도심 오름 중 이용자가 가장 많다.조선시대 나눔의 삶을 산 의녀 김만덕을 모신 사당(모충사)까지 자리해 숲의 의미를 더한다.제주도는 이 사업에‘온국민 모다드렁(모여들어) 낭(나무) 심기 대작전 1호’라는 역동적인 이름을 붙였다.
지난달 1차 사업에선 배롱나무,산딸나무,이팝나무,애기동백,수국 등 5개 수종이 식재됐다.사업이 진행될수록 공원은 더 다채로운 식물로 채워진다.도는 심기 작업이 가능한 10월까지 세 차례 더 참여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제주도가 올해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도민 참여 녹지사업의 모집 공고 포스터(맨 위)와 관련 협약식.제주도 제공 도로교통공단 직원과 인예어린이집 아이들이 참여한‘반려 가로수 입양 사업’도 올해 새롭게 시작했다.총 12개 구간에 12개 단체를 모집해 입양자로 선정했다.어린이집,시니어클럽,숲해설가,공무원,유통 관계자 등 다양한 계층이 고루 참여를 희망했다.
이들은 배정받은 구간의 가로수를 관리한다.잡초를 뽑고,생육상태를 모니터링한다.짧게는 300m 구간이지만 여러 단체가 참여하면서 3㎞에 가까운 도로변 가로수 식수대가 보살핌을 받게 됐다.
7월부터는 기업이 기부채납해 도시숲을 조성하는 사업이 본격화된다.2개 기업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이달 중 협약을 거쳐 하반기 공사를 진행한다.
제주에서 기업이 도시숲을 조성하는 것은 처음이다.조성지에는 기업의 이름이 적힌 안내판을 설치한다.감사의 의미다.조성 후에는 제주도와 기업이 공동으로 관리한다.이경준 제주도 산림녹지과장은 “기후 변화에 기업과 공공이 공동으로 대응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일시적인 광고와 달리 지속적으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고 기업을 홍보할 수 있기 때문에 모두에게 유익한 사회공헌 사업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달라진 제주 날씨
제주도가 도시숲 확대에 주력한 것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2년 전부터 한 해 12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을 녹지과 주요 프로젝트로 추진하고 있다.하지만 올해 도민참여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민관 공동 사업을 본격화한 것은 기후변화로 녹지 수요가 부쩍 커졌기 때문이다.
가장 불편해진 건 더위다.2022년 제주도 여름은 역대 가장 무더웠다.6∼8월 평균기온이 26도였다.평년보다 겨우 1.5도 높았는데,가장 빠른 열대야(6월 29일)가 나타났다.
인구 밀도가 높은 제주시 북부는 지난해 8월 10일 낮 최고기온이 37.5도를 기록했다.1923년 기상 관측이 시작된 후 99년 만에 가장 높았다.이 해 제주도의 여름 기온은 197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문제는 특정 해에만 더위가 찾아온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더위는 더 일찍 찾아오고 더 오래 머무르고 있다.
제주지역은‘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을 뜻하는 폭염일수가 2004~2013년 41.2일에서 2014~2023년 57일로 급증했다.
폭염이 이어지는 기간(첫 폭염과 마지막 폭염까지의 기간)도 길어졌다.예전에는 7월 중하순 첫 폭염이 시작돼 아이들 개학 철인 9월 초 더위가 한풀 꺾였다.최근에는 6월 말~7월 초로 폭염 시작이 빨라지고,9월 중순까지도 폭염이 나타난다.
2022년에는 8월 4일부터 16일까지 13일간이나 폭염이 이어졌다.이 해 제주는 6월 23일 첫 폭염이 시작됐고,9월 19일 마지막 폭염이 확인됐다.
더위는 도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한다.제주는 온열질환자 발생 수가 인구 10만명당 13.7명(2022년 기준)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밤에도 최저기온이 2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 일수는 매년 평균 30~40일이나 발생하고 있다.2004~2013년 290.8일에서 2014~2023년 353.4일로 62일이나 증가했다.
열대야가 계속되면 숙면을 취하지 못해 피로가 누적된다.제주도는 전국에서 열대야 일수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분류된다.
더위는 지역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냉방에 따른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는 것 외에도 소방 출동 증가,기후 취약 계층 지원 등 많은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킨다.
심리적으로도 큰 스트레스를 안긴다.여러 조사에 따르면 폭염과 열대야 강도가 심해질 때 사람들은 기후 우울감을 갖는다.기후변화가 본인과 가족 등 공동체에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되지만,개인이 해결할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제주도가 도시 녹지정책을 강화하는 것은 불가피한 기후변화 속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고,가능한 한 쾌적한 일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다.앞서 유엔 산하 유엔환경계획(UNEP)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나무 심기를 제시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지난달 도민이 직접 공사 현장에 들어와 나무 심는 작업을 처음 진행해 보았다”며 “안전 문제 등 행정기관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이지만,도시에서 녹지공간이 갖는 의미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부분에서 도민 참여를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The 100% privacy-safe noise & occupancy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