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디스 코드 모바일 서버 검색
NO.2: 디스 코드 서버 순위
NO.3: 디스 코드 자판기 서버
NO.4: 디스 코드 토끼샵
NO.5: 디스보드
NO.6: 디스보드 서버 검토중
NO.7: 디스보드 서버 안올라감
NO.8: 디스보드 서버 올리기
NO.9: 디스코드 공개서버
NO.10: 디스코드 도박 디시
NO.11: 디스코드 도박 사건
NO.12: 디스코드 도박봇
NO.13: 디스코드 도박서버
NO.14: 디스코드 도박장
NO.15: 디스코드 서버
NO.16: 디스코드 서버 검색
NO.17: 디스코드 서버 참가
NO.18: 디스코드 야섭
NO.19: 디스코드 친목서버
NO.20: 디스코드 토토 서버
NO.21: 디스코드 토토봇
NO.22: 리썰 컴퍼니 디스 코드
(종합)1분기 영업이익 1593억원으로 전년 동기 3.4배 증가.통합 매입 체계로 원가 절감·공간 혁신으로 고객수 늘어
이마트는 12일 공시를 통해 올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7조2189억원,영업이익 159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2%,영업이익은 238.2% 각각 증가했다.
증권가에선 1분기 이마트 영업이익을 1250억원 안팎으로 예측했는데,실제 이익 규모는 이보다 25% 이상 많았다.1분기 실적 기준으론 2017년 1분기(1676억원) 이후 8년 만에 최대 실적을 냈다.
이마트 별도 기준 매출도 4조6258억원,영업이익은 13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1%,43.1% 증가했다.별도 영업이익도 2018년 1분기 (1616억원) 이후 7년 만에 최대치였다.
앞서 정 회장은 지난해 3월 승진 이후 '본업 경쟁력' 강화를 지속적으로 주문해왔다.회장 취임 1주년을 맞은 지난 3월에도 "경기가 좋지 않고 시장 상황이 혼란스러울수록 우리의 본업 경쟁력을 강화해 경쟁자가 넘볼 수 없는 압도적인 지배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이에 이마트는 지난해부터 대형마트와 트레이더스,슈퍼마켓,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을 아우르는 통합 매입 체계를 구축하고,이를 기반으로 상품 경쟁력 강화와 원가 절감에 주력해왔다.여기에 매월 주요 생필품을 상시 최저가(EDLP)로 제공하는 '가격파괴 선언'과 올 1월부터 선보인 '고래잇 페스타'는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기존 대형마트의 공간 구성을 바꿔 고객이 오랜 시간 머무를 수 있는 '종합몰'로 변신한 전략도 효자 노릇을 했다.지난해 하반기 리뉴얼 오픈한 '스타필드마켓 죽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고,대규모 점포 리뉴얼을 추진한 문현·용산·목동점이 같은 기간 매출이 각각 35%,11%,6% 늘어난게 대표적이다.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의 선전도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트레이더스 1분기 영업이익은 4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9% 증가했다.트레이더스 고객 수도 지난해 1분기보다 3% 이상 늘어났다.지난 2월 문을 연 트레이더스 마곡점은 개점 후 3일간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고,프로모션 슬롯 보너스 보증금 1003월 말까지 전국 23개 트레이더스 점포 중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주요 자회사 실적도 눈에 띈다.스타벅스를 운영하는 SCK컴퍼니는 1분기에 351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고,종합쇼핑몰 스타필드를 운영하는 부동산 개발사 신세계프라퍼티도 36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또 PK리테일홀딩스(75억원)와 신세계푸드(79억원),조선호텔앤리조트(18억원) 등도 1분기 흑자를 달성했다.
다만 SSG닷컴(-181억원)과 G마켓(-121억원) 이마트24(-104억원) 등은 영업손실을 나타냈다.경쟁이 격화한 이커머스와 편의점 시장에서 아직 고전하는 분위기다.앞으로 이커머스는 CJ대한통운과 협업해 배송 경쟁력을 강화하고,이마트24는 PB(자체 브랜드) 노브랜드 연계 매장을 확대하는 등 전략 전환과 내실 경영을 통해 실적 개선에 주력한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지속적인 혁신과 쇄신을 통한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실질적인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가격과 상품,패밀리 슬롯 카 레이싱공간 혁신을 통해 수익성 중심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