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萊特幣
NO.2: 가상화폐 실시간 시세
NO.3: 미국 암호 화폐 공시 사이트
NO.4: 암호화폐 공시
NO.5: 암호화폐 기회
NO.6: 암호화폐 뉴스 사이트
NO.7: 암호화폐 뉴스 속보
NO.8: 코인 공시 사이트
NO.9: 코인 정보 얻는법
NO.10: 코인뉴스 빠른곳
NO.11: 코인정보사이트
NO.12: 해외 코인 뉴스 사이트
美 관세폭탄에도 튼튼한 경제 강조해 협상서 유리한 고지 확보하려는듯
中 "올해 5% 안팎 성장 목표 고수"…경제 활성화·소비 진작 마중물 마련
[A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중국 당국이 7일 미국발 고관세 영향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이자율 인하와 유동성 공급을 포함한 일련의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다.
경제 체력을 키워 곧 있을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는 한편 '5% 안팎'이라는 올해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마중물로 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판궁성 중국인민은행장과 리윈쩌 국가금융감독총국장,우칭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다양한 경제 활성화 및 소비 진작 대책을 쏟아냈다.
우선 판 행장이 소개한 인민은행의 3개 분야 10대 조치에는 지급준비율(RRR·지준율) 0.5%포인트 인하를 통해 장기 유동성 1조위안(약 192조원) 공급,정책금리 0.1%포인트 인하,ott 사이트 추천 디시개인주택 대출금리 0.25%포인트 인하 등이 포함됐다.
리 총국장은 미국의 대중 고율 관세 부과로 중국에서 대미 수출 관련 일자리 최대 1천600만개가 위협 받을 수 있다는 추산이 나온 가운데 중소기업에 대한 새로운 금융 지원을 약속했다.
우 주석은 증시에 투입된 중국 최대 국부펀드 중국투자회사 산하 중앙후이진에 대한 지원,와이즈토토토 더블유중장기 자금의 증시 진입 유도 등 증시 부양책을 소개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에 대한 중국 본토 또는 홍콩 복귀 지원을 시사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지난 3월 말 기준 미국 증시에는 286개 중국 기업이 상장돼 있는데,맞고 2인용미국에서는 중국과 무역협상 압박 수단으로 이들 기업을 퇴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날 공개된 방안은 지난 달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45%의 추가 관세 '폭탄'을 투하하고,중국은 이에 대한 맞불 차원에서 미국산 수입품에 최대 125%의 보복 관세 조치를 내놓은 이후 중국이 처음 내놓은 경기 부양 패키지다.
우 주석은 이날 "미국의 관세 남용은 세계 경제·무역 질서를 심각하게 교란하고 있다"며 "상장 기업의 생산·운영은 직간접적으로 영향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이번 경기 부양책이 무역전쟁과 관련해 미중 양국이 처음 공식 대화에 나서기로 했다고 각각 발표한 지 몇 시간 만에 나왔다는 점 또한 주목된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중국 결제실세'인 허리펑 부총리는 이번 주말 제3국인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중국은 부양책을 동원해 미국과 협상 전에 자국 경제의 체력이 튼튼하다는 점을 과시,미스터 빈 슬롯협상의 지렛대로 삼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 싱자오펑 중국 수석 전략가는 로이터통신에 "(미국과) 장기 무역 협상 개시 전 중국은 국내 경제가 충분히 강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제시한 올해 5% 안팎 경제 성장 목표 달성을 위해서도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이 작년 하반기 내놓은 부양책들은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많았다.
작년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중국은 올해 완화적인 통화정책과 적극적인 재정정책,자산시장 활성화를 강조하며 추가 부양책을 예고했었다.
란포안 중국 재정부장(장관)은 현지시간 지난 4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제28차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중국은 한층 적극적이고 강력한 거시경제 정책을 채택할 것"이라며 올해 성장 목표 고수를 강조했다.
중국은 올해 1분기 예상을 뛰어넘어 5.4% 성장하는 등 아직 미국발 관세 폭탄의 직접적 타격은 받지 않고 있다.
하지만 중국산 상품을 실은 화물선의 미국 입항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지난달 중국의 신규 수출 주문량이 202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관세 영향은 가시화하고 있다.
경기 부양책 영향으로 한국시간 이날 오후 3시 8분 기준 상하이종합지수(0.41%),홍콩 항셍지수(0.45%) 등 중화권 증시는 호조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