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카지노 총판 수입
대화 강조했던 이주호,학생들과 간담회 갖기도
"내년 모집인원 결정,추가로 할 수 있는 건 없어"
이주호 "의대 문제 포함,난제들 해결되도록 최선"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으면서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의대 교육 파행 사태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일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까지도 의대생들의 대규모 수업 복귀 움직임은 없다.유급을 앞뒀던 지난 4월 말 이후 의대생들과의 대화 일정이 추가된 것도 없다.
의대 교육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한 지난해 2월 이후 파행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올해는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3058명으로 조정하는 결정을 내렸지만 4월 30일까지도 학생들의 복귀가 이뤄지지 않아 대규모 유급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 이 부총리는 지난 2일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이 권한대행은 의정갈등 상황에서 의대생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쪽이었다.이번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역시 이 권한대행의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형준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원장은 "의대 문제에 관계된 사람들 중에서 이 권한대행은 가장 유화적이었던 사람"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가 의대 모집인원까지 조정한 상태에서 정부가 더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실질적으로 없다.일부 의대생들은 새 정부가 들어서면 지난해와 같은 학사유연화가 있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정부와 대학 총장,램 슬롯 1번 2번의대 학장들 모두 올해는 학사유연화가 없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실제로 전날까지 순천향대 606명,을지대 299명,인제대 557명,차의과대 190명,건양대 264명 등 5개교 1916명의 의대생들이 학칙상 1개월 이상 무단결석을 해 제적 예정 통보를 받았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필수의료 패키지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의대 정원을 제외하면 대부분 보건복지부 소관이어서 이 권한대행이 직접 폐지나 수정을 요구하기도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정 정책위원장은 "권한대행 임기가 한 달 남짓 남은 지금,대선까지 관리를 해야 하는데 이 상황에서 복지부 장·차관의 생각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 교수도 "내년 모집인원까지 결정이 됐기 때문에 의대 정상화와 관련해서 정부가 추가적으로 더 할 수 있는 건 없어 보인다"며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가 있으니 거기에 맞춰 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럼에도 이 권한대행이 그동안 의대생들과 대화를 이어가려 했고,지난달에는 실제로 의대생들과 만남도 성사가 됐으며 이번 의대 교육 사태를 겪으면서 교육부와 대학간 협업 체계가 갖춰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대 교육 정상화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겠느냐는 기대감도 나온다.
이 권한대행도 전날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단 의대생들은 반드시 돌아와야 한다.철저하게 학사 관리를 하겠다"면서도 "의대 문제를 포함해 여러 난제들을 짧은 기간이지만 해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