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Justinmind
NO.2: 네이버 프로토나우
NO.3: 모바일 앱 프로토 타입
NO.4: 모바일 프로토 구매
NO.5: 모바일 프로토타입 툴
NO.6: 무료 프로토타입 툴
NO.7: 앱 프로토타입 만들기
NO.8: 앱 프로토타입 툴
NO.9: 프로토타입 예시
NO.10: 프로토타입 제작 툴
NO.11: 프로토타입 피그마
NO.12: 피그 마 모바일 프로토 타입
NO.13: 피그 마 모바일 프로토타입
[앵커]
SK텔레콤 해킹 관련 소식 이어갑니다.
SKT는 사전에 이용자 유심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아 피해를 더 키웠다는 지적을 계속 받아 왔는데요.
그동안 SKT는 암호화를 안 한 이유로 통신속도 지연을 꼽았는데,해킹 사이트 검사경쟁업체인 KT와 LGU+는 암호화를 한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SKT 해킹 당시,2천5백만 명의 유심 정보는 암호화가 안 돼 있었습니다.
최소한의 보호장치도 없었다는 건데,그만큼 해킹에 취약했다는 뜻입니다.
[이준석/국회 과방위원/지난달 30일 : "사기업에서 필드별 암호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거의 전 국민의 절반 가까운 사람들의 주요 통신정보가 노출됐다 어떻게 보십니까?"]
유출이 확인된 유심 정보는 전화를 건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가입자 식별번호와,그 사람이 진짜 이용자가 맞는지 확인하는 가입자 인증키 등 4종류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입자 인증키'는 이용자가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최종 관문으로 핵심 정보입니다.
SKT가 중요한 가입자 인증키를 암호화하지 않은 겁니다.
유심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건 통신 지연 문제 때문이라는 게 SKT의 해명입니다.
암호를 걸었다가 푸는 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논리입니다.
[류정환/SKT 부사장 : "암호화를 풀었다가 전화가 끝나면 다시 암호화를 하고….여기서 지연(latency)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KT와 LGU+는 '인증키' 값을 모두 암호화하고 있는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염흥열/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 : "통제가 뚫렸더라도 암호화를 해놓으면 밖으로 나가더라도 복호화하는 데 시간이 걸리니까 해커 입장에서는 거의 무용지물이 되는…."]
이런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T가 주요 시스템에 보안 프로그램,즉 백신을 깔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고,SKT는 다른 보안장치를 해두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
프로토타입 예시
모바일 프로토 타입 - 2025년 실시간 업데이트:단품 가격이 7500원으로 기존 주력 메뉴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크기를 강조한 신메뉴로 초반 흥행에 성공했다.
모바일 프로토 타입,이 순간, 넓은 하늘에서 5 개의 거대한 독수리 모양의 괴물이 천천히 맴돌고 있었고, Xiao Yan의 얼굴은 약간 바뀌었지만 거리는 매우 다르지만 Xiao Yan 여전히 그들의 정체성을 그 가운과 구별했습니다 : Yunlan S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