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겨울옷보관 압축팩
NO.2: 다이소 압축팩
NO.3: 스마트 압축팩
NO.4: 스마트압축팩
NO.5: 압축팩
NO.6: 압축팩 다이소
NO.7: 압축팩 사용법
NO.8: 압축팩 여행
NO.9: 압축팩 영어로
NO.10: 압축팩 옷 구겨짐
NO.11: 압축팩 옷 손상
NO.12: 압축팩 청소기
NO.13: 압축팩 청소기 없을때
NO.14: 압축팩 청소기 없이
NO.15: 압축팩 추천
NO.16: 압축팩 하비비
NO.17: 압축팩다이소
NO.18: 압축팩여행용
NO.19: 압축팩의류
NO.20: 압축팩이불
NO.21: 여행용압축팩
NO.22: 옷보관압축팩
NO.23: 음식 압축팩
NO.24: 의류 압축팩 단점
NO.25: 의류압축팩
NO.26: 이불 압축팩
NO.27: 이불압축팩
NO.28: 이불압축팩 대형
NO.29: 이불압축팩4매
NO.30: 정리스마트압축팩
NO.31: 진공 압축팩
NO.32: 진공스마트압축팩
NO.33: 진공압축팩
NO.34: 패딩 압축팩
어린이날 연휴 전남 완도의 한 리조트에서 투숙객들이 일산화탄소로 추정되는 가스에 집단 중독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5일 오전 6시56분쯤 전남 완도군 완도읍 한 리조트에서 투숙객 다수가 두통과 어지럼증 등 일산화탄소로 추정되는 가스 중독 증세를 보여 병원으로 옮겨졌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구급대는 성인 9명과 어린이 5명 등 14명을 병원으로 이송했다.투숙객들은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스 중독 증상을 보인 투숙객은 3층과 4층,슬롯 홀 치수6층 등 여러 층의 객실에서 동시에 발생했다.해당 객실 내부에서는 일산화탄소가 검출됐다.사고 당시 이 리조트에는 21개 객실에 69명이 투숙 중이었다.
가장 많은 환자가 많이 발생한 4층의 경우 119구조대 도착 직후 복도 내 일산화탄소 농도가 400ppm으로 측정됐다.실내공기 기준 허용 농도 50ppm의 8배에 달한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보일러실에서 건물 밖으로 정상 배출되지 않은 일산화탄소가 복도로 새어 나와 객실 내부까지 스며든 것으로 추정하고 가스안전공사 등 관계기관과 합동 감식을 벌이고 있다.
2016년 문을 열었다가 최근 개보수 공사를 거친 뒤 재개장한 이 리조트는 층별로 난방과 온수 공급을 위한 가스보일러가 설치돼 있다.보일러실에는 일산화탄소 경보기가 설치됐는데 사고 당시 작동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보일러실의 안전관리 및 점검을 소홀히 한 정황이 드러나면 관련자들을 업무상 과실치상 등 혐의로 입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