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節奏天國 黃金版
NO.2: 고스톱 5광 점수
NO.3: 고스톱 같은 패 4장
NO.4: 고스톱 광팔기
NO.5: 고스톱 룰
NO.6: 고스톱 점수
NO.7: 고스톱 점수 룰
NO.8: 고스톱 족보
NO.9: 고스톱 폭탄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암교육센터 연구팀
환자·보호자 300명 대상 항암 문해력 조사
전문 용어·한자 사용 줄여 이해도 높여야
B.“지금 받으시는 방사선 치료는 통증이나 불편함을 덜어드리기 위한 거예요.치료 중에는 속이 메스껍거나 입맛이 없어질 수 있지만,그런 증상은 약으로 도와드릴 수 있으니까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A와 B,몬테카를로 카지노 입장이 두 가지의 차이는 무엇일까.A는 항암 치료 중인 환자들이 의료진에게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고,B는 같은 말을 최대한 풀어 쓴 것이다.A처럼 말했을 때 환자의 절반 이상은 암과 관련된 의학 용어를 전혀 이해 못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원활한 암 치료를 위해선 의학 용어와 한자어 사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암교육센터의 조주희 교수와 김나연 종양전문간호사,이만경 삼성융학의과학원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암 환자 181명과 보호자 119명 등 300명을 대상으로 항암치료 관련 용어 56개에 대한 문해력을 조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연구팀은 점막,감염,백신,면역,장폐색,구강,복강,피하,색소침착,골수,인플루엔자,적혈구,발진,과민반응,백혈구,이뇨제,이명 등의 단어를 조사했다.연구 결과 300명 중 162명(54%)은 항암 치료 용어를 이해하지 못했다.
특히 남성,저소득층,지방 거주자일수록 항암 치료 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암 관련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없는 경우에도 이해도가 아주 낮았다.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의학 용어를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2.59배 높았다.암 관련 정보를 검색하지 않은 사람은 검색한 사람에 비해 이해도가 낮을 가능성이 4.32배에 달했다.
또한 암 진단 후 항암 치료를 받으면서도 의학 용어에 대한 문해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되지는 않아 지속적인 정보 제공과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도 확인됐다.연구에 따르면 암과 관련된 의학 용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은 자기 관리에 소홀하거나 치료 관련 증상과 입원 사건이 더 많을 가능성이 높았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외래 항암화학요법 환경이 일반화돼 환자와 간병인이 자기관리 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해졌다”며 “문제는 이를 환자나 간병인이 용어 때문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을 설명했다.이어 연구팀은 “의료인이 전문 용어 사용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 용어나 한자 사용을 줄이고 의미를 더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암학회지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