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리인포스드 본드
NO.2: 스미 타 카밧 참
NO.3: 워 프레임 캐릭터 추천
NO.4: 워 프레임 쿠 브로 추천
NO.5: 워프레임 데스큐브 얻는법
NO.6: 워프레임 동반자 모딩
NO.7: 워프레임 동반자 무기
NO.8: 워프레임 동반자 추천
NO.9: 워프레임 동반자 티어
NO.10: 워프레임 마켓
NO.11: 워프레임 베르글라
NO.12: 워프레임 센티넬 무기
NO.13: 워프레임 센티넬 추천
NO.14: 워프레임 센티언트
NO.15: 워프레임 센티언트 사냥
NO.16: 워프레임 센티언트 잡기
NO.17: 워프레임 셰이드 프라임
NO.18: 워프레임 쿠브로
NO.19: 워프레임 헬스트럼
NO.20: 컨테이저스 본드
1Q 영업익 1136억 전년比 69.6% 급증…수익성도 개선
해외쪽 감소에도 국내 양산사업 본격화·수주 증가 지속
2년 만에 수익성 높아진 이유
8일 LIG넥스원은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90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했다고 밝혔다.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36억원으로 69.6% 늘었다.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12.5%를 기록,지난 2023년 1분기(12.5%) 이후 2년 만에 두 자릿수를 돌파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를 훌쩍 넘어서는 수준이다.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IG넥스원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평균치)는 매출 8042억원,영업이익 648억원 수준이었다.시장 기대치 대비 실제 매출은 12.9%,영업이익은 75.3% 많았다.
특히 PGM 부문에서는 천궁-Ⅱ 2차,카지노 매출 인식현궁 3-2차 양산사업 등이 본격화돼 전년 동기 대비 81.4% 증가한 4254억원의 매출을 시현했다.전체 매출 중 PGM 부문의 비중은 46.9%에 달했다.
ISR 부문은 1251억원,AEW 부문은 1071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2%,51.6% 성장했다.이에 비해 지휘통제(C4I) 부문의 매출은 22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9% 감소했다.
다만 해외 매출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25%p(포인트) 줄어 1분기 매출에서 내수와 수출 비중은 각각 82.3%,17.7%였다.이는 지난해 1분기 인도네시아 경찰청 통신망 관련 2개 사업 매출 인식에 따른 기저효과다.
해외 매출은 줄었지만,수주 잔고는 22조883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14.1%(2조8천299억원) 늘었다.특히 올 1분기 신규 수주금액은 4조2147억원으로 이라크 천궁Ⅱ수출 계약이 반영됐다.
미래 혁신 지속한다
LIG넥스원은 올해 통합 대공망,유무인복합,사설사이트 제작수출 확대 등 '3대 미래 혁신방향'을 중심으로 지속성장 기반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먼저 LIG넥스원은 북아프리카부터 중동,최고의 온라인 룰렛아시아를 연결하는 'K-대공망' 벨트를 실현한다는 목표다.K-대공망은 저고도에서 고고도를 아우르는 다층방어 통합 솔루션이다.
이와 함께 육해공을 아우르는 '유무인복합 솔루션'을 고도화한다.또 2030년까지 5조원을 투자해 글로벌 방산기업 20위권에 진입하고 수출국을 30개국으로 확장하겠다는 청사진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R&D(연구개발)도 지속 추진 중이다.LIG넥스원은 지난 1월 전체 5만7210㎡(약 1만7000여평) 규모의 대지에 최첨단 연구개발 및 시험설비를 갖춘 'LIG넥스원 2판교하우스'를 개소한 바 있다.구미·용인·판교·대전 사업장에 이은 신규 R&D센터를 기반으로 통합 연구개발 역량을 대폭 강화할 전망이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에는 대전하우스 위성 체계종합·시험동도 완공 예정"이라며 "미래‧신규 사업 확대 및 해외 시장 개척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