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블록 미디어
NO.2: 블록 미디어 랩스
NO.3: 블록 미디어 리플
NO.4: 블록 미디어 이현지
NO.5: 블록 미디어 장 채린
NO.6: 블록 미디어 정아 인
NO.7: 블록 미디어 채용
NO.8: 블록 미디어 최창환
NO.9: 블록 미디어 텔레 그램
NO.10: 블록 미디어 한성수
NO.11: 블록미디어
NO.12: 블록미디어 구독
NO.13: 블록미디어 뉴스
NO.14: 블록미디어 대표
NO.15: 블록미디어 리플
NO.16: 블록미디어 연봉
NO.17: 블록미디어 코인
NO.18: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NO.19: 블록미디어체인
NO.20: 블록체인투데이
NO.21: 비트코인 뉴스 속보
NO.22: 알트코인 뉴스
NO.23: 업비트
NO.24: 오늘의 코인 뉴스
NO.25: 오늘코인하락이유
NO.26: 코인니스
NO.27: 코인리더스
유심(USIM·가입자 식별 장치) 해킹 사태로 SK텔레콤 주가가 부진한 가운데 5만500원 이하부터는 투자할 매력이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정원석 신영증권 연구원은 7일‘SK텔레콤-정보유출 사태 후 주가 진단’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장 연구원은 오는 6월까지 SKT가 신규 가입자 유치가 제한되고,원정 도박 의혹5월 하루 평균 1만5000명과 6월 하루 평균 5000명의 가입자가 이탈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실적이 약 15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또 일회성 유심 교체 비용은 1000만명의 가입자가 교체한다고 가정할 때 약 4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장 연구원은 두 이익 감소분을 고려하면 유심 해킹 사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난달 25일 종가(5만7800원) 대비 13% 하락한 5만500원부터 가격 측면에서 매력이 두드러질 수 있다고 봤다.특히 올해 연간 1주당 배당금 예상치(3540원)를 고려할 때 배당수익률이 7%가 되는 가격대이기도 하다.
정 연구원은 과징금 부담도 천문학적 수준은 아닐 것으로 내다봤다.2023년 9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이후로 전체 매출액의 3%까지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게 됐다.정 연구원은 “(과징금 산정 때) 위법 행위와 관련 없는 매출은 제외될 수 있고,메타 블록 체인법 위반 정도에 따라 감경이 가능하다”며 “과거 사례와 크게 어긋나지 않는 수준에서 과징금이 부과될 것”이라고 했다.
정 연구원은 다만 “가입자 이탈 규모가 더욱 확대되거나,티머니 토토신규 가입자 유치 제한 조치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은 위험 요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