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클로저스 30강
NO.2: 클로저스 갤러리
NO.3: 클로저스 교차형 물질 변환
NO.4: 클로저스 서클
NO.5: 클로저스 스킬큐브 추천
NO.6: 클로저스 의상실
NO.7: 클로저스 코스튬 일러스트
NO.8: 클로저스 트랜스 디스크
"오픈AI '공익법인' 전환 결정 따라
양사,파트너십 조건 변경 논의 중"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파트너십 조건을 재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MS는 지금까지 오픈AI에 약 130억 달러(약 18조2,500억 원)를 투자한 최대 투자자로,오픈AI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현지시간) 두 회사가 파트너십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양사는 2019년 MS가 오픈AI에 첫 투자할 때 2030년까지 유효한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고,여기에는 오픈AI의 AI 모델과 서비스 등에 대한 MS의 접근권을 보장한다는 내용과 일정 수익을 배분받는다는 내용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다.
MS는 향후 오픈AI가 공익법인으로 전환하면 지분 일부를 포기하는 대신 2030년 이후에도 오픈AI가 개발하는 신규 기술에 대한 접근권을 갖는 방식을 제안했다고 한다.오픈AI가 지난 5일 영리와 공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공익법인으로 회사 구조를 개편하겠다고 밝혔다.오픈AI는 전반적인 의사결정권을 가진 비영리 모기업이 영리사업을 하는 회사를 지배하는 구조로,완전 영리법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었으나 업계 반대 등에 계획을 결국 포기했다.MS는 공익법인인 오픈AI의 지분보다는 장기적인 기술 접근권을 확보하는 게 자사에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읽힌다.
오픈AI와 MS는 AI 업계에서 드문 공생 관계였다.MS는 2023년부터 자사 제품에 오픈AI의 AI 모델을 통합하기 시작했고,머니트레인 슬롯클라우드(가상서버)를 통해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오픈AI에 제공해 왔다.그러나 오픈AI가 기업 고객들을 상대로 자사 제품을 직접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MS와는 협력과 경쟁을 병행하는 관계가 됐다.올해 초 일본 소프트뱅크,오라클 등과 함께 미국에 초대형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관계는 더 미묘해졌다.스타게이트가 성공하면 오픈AI는 더 이상 MS의 클라우드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번 협상이 마무리되면 양사의 관계는 재정립된다.어떤 식으로 정리되든 과거보다 협력의 끈은 더 느슨해질 수밖에 없다.오픈AI의 지배 구조뿐 아니라 AI 업계 경쟁 구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