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PID 디스플레이
NO.2: TOVIS
NO.3: 모니터 슬롯
NO.4: 토비스 모니터
NO.5: 화이트 슬롯 모니터
오는 11일 예술의전당에서 2번째 독주회
차이콥스키·스크랴빈·프로코피예프 연주
"피아노는 여전한 기쁨…책임·특권도 인식""피아노는 이제 내 존재의 일부다.단순한 취미가 아닌,삶의 본질이자 사명이 됐다."
파리 태생의 중국계 캐나다인 피아니스트 브루스 리우는 아시아경제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피아노를 대하는 태도가 더 진지해졌다고 했다.4년 전 그는 5년마다 열리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 피아노 콩쿠르인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했다.코로나19로 1년 연기되면서 그는 2015년 조성진 이후 6년 만에 배출된 쇼팽 콩쿠르 우승자였다.우승 직후 내한 공연을 앞두고 그는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피아노 연주는 직업이 아니라 취미라고 했다.
리우는 당시 인터뷰에서 취미를 언급한 이유는 피아노 연주가 기쁨과 자유로운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남아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였다고 했다.지금 그는 시각이 많이 달라졌다며 책임과 특권을 언급했다.
"여전히 피아노를 연주하는 기쁨과 자유를 소중히 여긴다.동시에 음악을 공유하는 데 있어 내가 가진 책임과 특권을 알게 됐다.음악은 사람들과 소통하고,연주자로서도 개인으로서도 끊임없이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피아노는 그 어느 때보다 의미가 커졌고 피아노와의 관계도 더욱 깊어졌다."
역대 쇼팽 콩쿠르 우승자들이 대부분 스타인웨이와 야마하를 선택한 것과 달리 리우는 파지올리를 선택해 우승을 거머쥐었다.
"파지올리 피아노는 일종의 첫사랑 같은 존재다.쇼팽 콩쿠르 때 파지올리를 쳐봤는데,굉장히 풍부하고 명확한 다이내믹을 가진 소리를 낼 수 있어 상당히 매력적으로 느껴졌다.특히 쇼팽 콩쿠르에서는 파지올리의 가벼운 터치와 폭넓은 표현력을 가진 음색이 쇼팽 시대의 플레옐 피아노(쇼팽이 사랑했던 피아노 브랜드)를 떠올리게 해 더욱 좋았다.아주 섬세한 피아니시모부터 강렬한 포르테까지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었다.그 안의 따뜻하고 깊이 있는 소리도 매우 매력적이었다."
리우는 한국에서의 두 번째 독주회를 앞두고 있다.오는 11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차이콥스키의 '사계',스크랴빈의 '피아노 소나타 4번',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 7번' 등을 연주한다.모두 러시아 작곡가들이다.
리우는 각각의 러시아 작곡가들이 지닌 독창적인 개성을 탐구할 수 있어 무척이나 기대된다고 했다.
"차이콥스키의 음악은 주로 매우 서정적이고 감성적이며,때로는 나약함과 갈망을 깊이 있게 담아낸다.반면 라흐마니노프와 프로코피예프는 좀 더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강렬한 대비와 대담한 표현을 드러낸다.이 작곡가들은 각자 저마다의 방식으로 인간의 본질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광활한 선율이든,격렬한 감정이든,영화 박쥐 마작복잡한 리듬이든,그들의 음악은 다양한 방식으로 러시아의 정신을 담아낸다."
리우는 "러시아의 음악은 깊은 감성과 극적인 강렬함으로 유명하다.풍부한 선율,크레이지 게임 의지의 히어로복잡한 화성과 리듬과도 결합된다.작품 속에서 거대한 규모와 강한 민족적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한다.이는 러시아의 방대한 문화적,역사적 배경을 반영한다"고 덧붙였다.
차이콥스키의 사계는 1년 12달을 월별로 표현한 12개의 피아노 소품 모음곡이다.리우는 사계 연주는 자신에게 언제나 설레임으로 다가온다고 했다.
대개 1월부터 12월까지 죽 이어서 연주되는데 리우는 이번 독주회에서 특이하게 1~6월과 7~12월을 구분해 연주한다.1부 첫 곡으로 사계의 1~6월을 연주하고 차이콥스키 '백조의 호수' 중 '작은 백조의 몸'과 스크랴빈의 피아노 소나타 4번을 연주한 뒤 다시 2부에서 첫 곡으로 사계 7~12월을 연주한다.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주하는 이유는 관객들이 이 곡의 감정적인 여정을 더 잘 느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계 중 가장 유명한 곡은 6월 '뱃노래'다.하지만 리우는 11월 '트로이카'를 가장 좋아한다고 했다.
"11월은 예전부터 가장 좋아하는 앙코르곡 중 하나였다.우울(멜랑콜리)한 감정이 주는 아름다움과 슬픔이 부드럽고 섬세하게 묘사된다.이 곡이 주는 반짝임과 시적인 서정성을 정말 좋아한다."
리우의 독주회는 2023년 3월 첫 독주회 이후 2년여만이다.그는 열정적인 한국 관객을 기억한다며 두 번째 독주회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한국 관객은 단순히 예의상이 아니라 진정한 존중을 표현하는 박수를 친다는 게 느껴진다.공연 내내 함께 호흡한다는 느낌을 주고,국내포커대회그 공간을 같이 공유하고 있다는 깊은 연결감을 심어주는 등 따뜻한 에너지가 대단한 관객이라는 점을 체감한다.한국은 음악을 진지하게 사랑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연주에 담긴 예술성을 진심으로 이해해주고,클래식 음악을 존중해주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