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턴 카지노 호텔 - 2025년 실시간 업데이트
강선우·김윤 민주당 의원 "청년으로서 느꼈을 어려움은 같을 것"
"큰 조각 파이 두고 다투는 대신 파이 자체 크게 만들 협력 중요"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청년 보건의료인들이 의사·간호사·한의사 등 직종을 떠나 '청년 세대'라는 공통된 정체성과 '국민 건강'이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연대한다면,각 직역이 겪는 어려움도 함께 해결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서로의 문제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구조를 만들면,보너스 슬롯갈등보다 훨씬 생산적인 정책 논의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 강선우 의원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본인과 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인 김윤 의원이 공동 주최한 '2030 청년 보건의료인이 말한다' 간담회에서 "'청년 세대'라는 코호트로,또 보건의료인으로서 국민 건강을 중심으로 연대한다면 특정 직역의 어려움도 돕는,상당히 생산적인 구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20~30대 청년 보건의료인들을 만난 강 의원은 "당사자들에겐 직역의 일이 급하겠지만,정책을 조율하며 법제화하는 사람들에겐 비슷하게,아픈 손가락"이라며 "청년 보건의료인들이 느낄 어려움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선배들과 다르게 자랐는데 달라진 게 없는 조직을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목소리 냈다.
강 의원은 "전공의 처우 개선을 간호사,한의사,치과의사들이 함께 목소리를 내줬다면 어땠을까"라며 "내가 내 어려움을 외치기보다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는 다른 이가 '얘는 이게 어렵고,고쳐줘야 해요'라고 함께 목소리를 내줄 때 변화는 수월하게 이뤄진다"고 진단했다.
강 의원은 또 "2030 청년 보건의료인들이 청년이라는 코호트 문화와 국민 건강을 지킨다는 결과를 공유하는 만큼,거버넌스 구조를 만들면 어떨지 싶다"며 "'네 어려움을 우리가 외쳐줄게'라는 구조를 만든다면 상당히 생산적이지 않을까"라고 첨언했다.
김윤 의원도 '차기 정부 보건의료 정책 과제'라는 발제로서 "비민주적인 정책 결정 과정을 부추긴 것은 여러 직종 간 갈등이었다"며 "누구 하나 옳은 얘기를 해도,다른 직종이 편을 들어주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김 의원은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가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의사결정 주고자 법을 만들지 않았던 데 있다"며 "갈등을 방치하고 부추기는 정부의 책임도 크다"고 꼬집었다.
이어 "많은 조각,큰 조각의 파이를 차지하고자 다투는 게 아니라 파이를 키우는 방식으로 보건의료체계 안에서 협력해 나갔으면 좋겠다"며 "이게 2030 청년 세대가 할 수 있는 일이고,불투명하고 암울한 체계를 보다 밝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길"이라고 소개했다.
김 의원은 "다만 국민 지지를 받는 게 결국 가장 중요하다.국민을 중심으로 정책을 제안해야,실현·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면서 "청년들이 나서서 새로운 대한민국 보건의료의 패러다임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