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카지노 칩 일러스트
정부가 운영하는 인력 고령화 추세
장비는 중소형에 맞춰져 대응 한계
용수량 5000L급 대형헬기 7대뿐
3만L '고정익 항공기' 도입 절실
7일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로부터 받은 산림청 자료에 따르면 대형 산불이 났을 때 통상 공중진화대와 산불재난특수진화대,산불전문예방진화대 등으로 구성된 산불진화대가 현장에 투입된다.
이 가운데 주불을 처리하는 것은 공무원이나 기간제 공무원인 공중진화대와 산불재난특수진화대의 몫이다.계약직인 산불전문예방진화대는 상대적으로 위험하지 않은 잔불 정리에 투입된다.
그러나 지난 5년간 인력현황을 분석한 결과,포커칩세트 멘탈정작 산불진화대원의 90%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기준 산불진화대원이 9959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6971명이 주불 대응에 투입되지 않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인 셈이다.
특히 이들 대원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비율이 70%가량인 것으로 집계됐다.이마저도 산불 조심 기간에만 한정돼 운영된다.산불진화대가 대형 산불이라는 국가적 재난을 대비하기 위해서 운영되는 시스템인 만큼,실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전체 산불진화대원의 연령대가 높기 때문에 산불 피해에 대처하기 사실상 어렵다고 봐야 한다"며 "산불 현장 최전선에서 진화 작업을 맡는 인력은 정규직으로 채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황정석 산불정책연구소장도 "산불이 발생했을 때 산을 넘어가 진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산불진화대의 역할이지만,대부분 평균 연령이 높아 산에 호스를 끌고 올라가는 것조차 힘겨워 한다"며 "산불 초기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꼬집었다.
올해 국회는 추경을 통해 산불재난특수진화대 60명을 확충하는 예산을 확보했다.다만 사상 최악의 경북 산불 이후에야 뒤늦게 배정한 땜질식 대응라는 비판도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산림청 소속인) 특수진화대를 지방자치단체까지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예방진화대 인원을 줄이고 특수진화대 인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림청이 보유한 소방헬기 등 장비도 대형 산불에 맞서기엔 제한이 있다.현재 산림청의 산불 진압용 소방헬기는 모두 50대지만,모인 블록 체인86%(43대)가 중소형헬기다.바꿔 말하면 5000L 이상 물을 실을 수 있는 대형헬기는 전국에 7대뿐이다.
산림청은 지난해 군사 항공기에 물탱크를 설치해 산불을 진화하는 '고정익 항공기' 도입 예산으로 80억원을 배정했다.이 헬기는 최대 3만L를 용수할 수 있다.그러나 국방부와 최종 협의에 실패해 도입하지는 못했다.이창우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장비가 노후화된 것보다도 중소형 헬기가 많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태헌 경북도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대형 산불의 경우 최소한 중형급 이상의 헬기가 출동해야 산불을 억제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