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사랑과 꿈 경마
블록 체인 정부 과제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오른쪽)이 배석해 있다./로이터=뉴스1" style="text-align: center;">
베선트 장관은 이런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걸릴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내년 이맘때까지"라고 답했다.
베선트 장관의 이 같은 언급은 미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감률(속보치)이 직전분기 대비 연율 기준 -0.3%로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한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시행되기 전 관세를 피하기 위한 재고 확보 목적의 수입이 급증하면서 일시적으로 GDP 증감률이 역성장을 기록했지만 관세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미국 경제가 대폭 개선될 것이라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통신 등은 베선트 장관이 관세정책 효과를 강조,미국을 세계 최고의 투자처로 홍보하면서 지난달부터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불거진 '셀 아메리카' 움직임을 정면으로 반박했다고 짚었다.
베선트 장관은 세계 주요국과의 관세 협상과 관련해선 "일부 합의에 매우 가까워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 언급했듯 이번 주중에도 (타결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또 중국과의 협상에 대해서도 "앞으로 몇 주 안에 실질적인 진전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 2025'에서도 "미국 경제는 강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미국에 번영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감세,무료 삼륜 슬롯 머신규제 완화 의제는 서로 다른 세가지 정책일 수 있지만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면서 글로벌 자본의 본거지로서 미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려는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세가지 경제 의제는 각 부분의 합계 그 이상"이라고 말했다.
또 "미국은 세계 기축 통화와 가장 깊고 유동성이 풍부한 자본 시장,가장 강력한 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런 이유 때문에 미국은 세계 자본의 최상위 종착지이고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는 투자자들에게 미국을 더 매력적인 곳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미국에 투자하기 나쁜 때가 절대 아니다"라며 "미국은 지금 메인스트리트(실물경제)와 월스트리트(금융·자본시장) 양쪽에서 경제적 번영의 새로운 황금기로 접어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달 상호관세 발표 이후 출렁였던 미국 국채 10년물 시장에 대해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시도하는 것은 인플레이션 없는 성장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며 "내가 여기 있는 이유는 미국 정부의 신용 위험을 없애는 것이고 그렇게 하면 금리가 자연스럽게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한쪽의 목표는 정부 차입을 천천히 줄여서 매년 적자를 1%씩 줄이고 트럼프 대통령이 퇴임할 때까지 장기 평균인 GDP 대비 약 3.5%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