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양극성장애 사례
NO.2: 양극성장애 연예인
NO.3: 양극성장애 완치
NO.4: 양극성장애 원인
NO.5: 양극성장애 치료
NO.6: 조울증 도박
NO.7: 조울증 리튬 부작용
NO.8: 조울증 약 끊으면
NO.9: 조울증 약 종류
NO.10: 조울증 여자 특징
NO.11: 조울증 원인
NO.12: 조울증 증상 단계
NO.13: 조울증 환자 대처법
NO.14: 조울증 환자 대화법
NO.15: 조울증 환자 특징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의원은 8일 열린 SKT 해킹 청문회에서 이같이 지적했다.이에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SK텔레콤이 유심 인증키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은 소홀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의원은 “SKT만 유심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은 상황에 해당한다”고 비판했다.
유 장관은 “가급적 (인증키를) 암호화하는 것이 보다 보안에 유리한 것이므로 그렇게 지도하겠다”고 했다.
유 장관은‘SK텔레콤에서 단말기 식별번호(IMEI)가 빠져나가지 않았다고 100% 확신할 수 있느냐’는 노 의원 질의에 “아직 유출되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확신하지는 못한다”고 대답했다.
노 의원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대해 “만능이라고 확신할 수 없는 것 아닌가”라고 묻자 유 장관은 “그렇다”고 대답했다.다만 같은 질문에 대해 유영상 SKT 대표는 “현재 상태로서는 100% 안전하다”고 자신했다.
류정환 SKT 부사장은 “인증키 관련 방어장치를 마련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