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럭키파워볼
[프레시안books] 임준의 <오늘도 무사히>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있지만 석방된 내란범죄 우두머리가 공원에 출몰할 만큼 혼란한 상황이 지속되면서 노동하는 사람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정책 논의는 이슈로 올라오지 않고 있다.열악한 노동환경에서 일하는 하청비정규직 노동자,안전망이 없는 취약한 노동자들의 건강이 보장되지 않는 의료보장 체제의 문제점을 파헤친,인하대 의대 임준 교수의 <오늘도 무사히>(후마니타스)가 지난해 12월 출간됐지만 아무도 책을 읽을 수 없는 시기였다.
책을 홍보하고 싶었고 많이 팔리길 바랐는데 작은 노동단체 활동가들도 광장에서 바쁜 시간을 보내야 했기에 수개월을 날려버렸다.늦기도 하였고 헛되다 할 수도 있지만 <오늘도 무사히>가 지금이라도 많이 팔려서 6월에 시작될 새 정권,새 정부가 귀담아듣길 바라며 책을 소개하고 싶다.
얼마 전 세계 노동자들이 기념하는 4.28 Workers' Memorial Day가 있었고,토토 명곡우리나라 정부도 4.28 '산재노동자의 날' 기념행사를 했다.4월 17일에는 이진희님이 세상을 떠났다.2016년 스물아홉에 학비 마련을 위해 들어간 공장에서 닷새 만에 메탄올 급성중독으로 시력을 잃은 지 10년,시각장애인으로서의 삶을 살던 진희님은 깊은 새벽 뇌출혈로 깨어나지 못했다.'산재노동자의 날' 행사라고 모여 관료,전문가,카지노 입구이익단체들이 축사를 주고받을 때 이진희 님의 가족과 내가 아는 산재 노동자들은 국가로부터 어떤 위로의 인사라도 받았는지 모르겠다.
산재보상 요구가 곧 사회운동이 된 사건들이 얼마나 많은가.아프고 다친 노동자를 외면해온 산업화의 역사,기업을 비호하는 정치와 사회제도,공급자 중심의 보건의료체제가 동시대 노동의 현장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알고 싶은 이에게 <오늘도 무사히>는 너무 적절하다.
2024년 산재 사고사망 노동자는 827명이라고 고용노동부가 발표했다.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실은 산재보험과 다른 제도로 집계되지만 노동자임이 분명한 농어업노동자,선원,공무원,군인들의 사망자료까지 모아 더하였더니 5년간(2019~2023년) 1만2848명이 일하다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하루 7명이다.미등록 이주노동자,특수고용노동자들의 죽음을 찾아낸다면 더 늘어날지도 모른다.
직업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산재는 어떨까.고용노동부가 산재통계라고 발표하는 수치는 노동자들이 건강보험으로 치료받거나 회사부담으로 치료하는 경우를 포함하지 않는 일부의 숫자일 뿐이다.건강보험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일하다가 다친 노동자가 산재보험으로 치료한 경우보다 건강보험으로 치료한 경우가 10배가 많았다는 것을 임준 교수가 이미 2007년 연구에서 밝힌 바 있다.산재보험제도가 복잡해서 엄두가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산재보상 수를 바탕으로 발표하는 산재통계가 엉터리인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