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2022 야간경마
NO.2: 경마 공원 야간 개장
NO.3: 경마공원 야간
NO.4: 경마장 야간
NO.5: 경마장 야간개장
NO.6: 야간 경마
NO.7: 야간 경마 시간
NO.8: 야간 경마 입장 시간
NO.9: 야간경
NO.10: 야간경마시행
중소벤처기업부가 2일 CJ올리브영의 성수동 혁신매장(올리브영N)에서 화장품 수출기업들과 현장간담회를 갖고‘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진출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68억달러(약 9조7300억원)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며,2025년 1분기 화장품 수출 실적도 전년 동기(15억3000만달러) 대비 약 20% 증가한 18억4000만달러(약 2조6300억원)의 실적을 달성하면서 역대 1분기 최고치를 갱신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관세조치 등 변화하는 무역환경 속에서 국내 화장품 분야 중소기업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중기부는 지난해 7월 발표한‘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보완하는 한편,미국의 관세조치에 대한 ▲특화된 상담·대응체계 마련 ▲신시장 진출 3대 역량 강화 ▲수출 유망기업 발굴·육성 등 K뷰티 중소기업들이 글로벌화를 가속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중기부는 해외수출규제대응지원사업을 운영하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내에 관세사와 화장품협회 전문가 등으로 자문단을 구성하고,카카오톡 AI 챗봇 상담시스템을 도입해 미국의 관세부과 절차,원산지 증명 등 관세분야 특화 상담을 지원한다.
미국 현지 인플루언서를 연결하는‘K뷰티 온라인 마케팅 프로그램’을 신설해 글로벌 마케팅을 지원한다‘K뷰티 명품 사절단’신규 도입 등 미국 진출 특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신시장 진출 3대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민·관 협업으로 해외 빅바이어를 초청해 전시·상담회를 개최하는‘코스모뷰티서울×K뷰티 페스타’를 오는 28부터 30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한다.유럽이나 남미 등 지역 기반 온라인 플랫폼 입점과 마케팅 역량이 부족한 기업을 위한 전문셀러 판매대행 지원 확대,지역별 특수기에 진행되는‘K뷰티 특별전’등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을 활용한 신시장 진출도 지원한다.
K뷰티 해외인증 지원한도를 40% 상향하고,모든 K뷰티 해외인증에 패스트트랙을 적용해 공고 후 선정까지 약 1.5개월을 단축할 계획이다.제조현장 디지털화를 위한‘K뷰티 스마트공장 파트너십’도 구축한다.
중기부는 또한‘K뷰티 크리에이터 잴린지’참여 플랫폼을 미국에서 동남아 등으로 확대한다.K뷰티 크리에이터 챌린지는 아마존·코스맥스·한국콜마가 K뷰티 유망 기업을 발굴·육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해 처음 시작했다.
올해는 동남아와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 참여를 확대해 시장다변화를 지원하고,또띠아 룰렛선정기업에는 정부 수출지원사업과 연계해 성장의 발판을 마련해 준다.동시에 지난달 출범한‘글로벌 K뷰티 펀드’조성도 연내 마무리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보호 무역 강화의 흐름이 K뷰티 중소기업의 글로벌화에 적신호가 되고 있기는 하나,그간 축적된 노하우와 경쟁력에 민간과 기업이 합심해 노력을 더한다면 K뷰티가 글로벌 시장에서 1위 자리를 확고히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