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맞고 4고
NO.2: 맞고 강의
NO.3: 신맞고 규칙
NO.4: 재 맞고 강의
대한민국역사박물관‘기록’展에서 마주친 유물 한
어떤 전시회에 갔을 때,자신도 모르는 사이 유독 강하게 인상에 남는 유물을 보게 되는 일이 있습니다.그것은 꼭 이름난 예술가의 공력이 깃든 명작이거나 오랜 세월을 살아남아 역사의 중요한 사실을 증언하는 문화유산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어쩌면 그리 오래지 않은 과거의 작은 유물 한 점이 그 자리를 쉽게 떠나지 못하게 하는 일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며칠 전 서울 광화문 앞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특별전‘기록,메모리 오브 유(Memory of You)’에서 본 편지 한 장이 그랬습니다.
그것은 1972년 11월 1일,베트남 전쟁에 파병됐던 국군 정영환씨가 쓴‘바나나잎 편지’였습니다.
여느 편지처럼 편지지에 쓴 것이 아니라 바나나잎을 종이처럼 펴서 굵직한 사인펜으로 쓴 이 편지는 문득 보는 이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은경 엄마!염원해 주는 가운데 월남에 있는 아빠는 무사하오!훗날 부끄럼 없는 생활이 되기를-…
72.11.1.월남에서 아빠가’
우선 이 편지는‘전장에서 편지지 같은 보급품이 열악한 상태에서 정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바나나잎을 종이 대용으로 삼아 몇 글자 쓸 수 없는 좁은 공간에 간략하게 가족에 대한 사랑을 담은 유물’이라야 말이 됩니다.현지의 정취를 살리기 위해 종이가 있는데도 일부러 바나나잎에 쓴 건 아닐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펜글씨를 배운 적이 있는 듯 대단히 깔끔한 필적으로 쓴 이 편지는 간략한 내용만큼이나 어딘가 투박한 듯한 내용과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하오’체(體)에서는 가장으로서의 권위를 세우는 동시에 가족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하려 하는 심리가 드러납니다.실제로 아내를 만나 이런 말투로 말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그리고 전장에서 자신이 다치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걱정하지 말라고 안심시키는 배려가 이어집니다.
그런데,물론 공간적 제약 때문이겠지만,편지 내용은 갑자기 여기서 한 차례 튑니다.훗날 돌이켜봤을 때 부끄럽지 않은 생활이 되기를 바란다는 것은 무슨 내용일까요.얼핏 보면 아내의 정조를 염려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만,편지의 맥락과 어조를 살펴볼 때 대략 이런 의미인 것 같습니다‘남편이 나라를 위해 전장에 가 있는 것이니,남편 없는 생활을 계속하더라도 남들 보기에 부끄럽거나 떳떳하지 못한 것이 아님을 늘 인식하고 살아가 주시오’
상대방을‘여보‘자기’라 부르거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게 아니라‘은경 엄마’라 부르고,현금홀덤사이트 디시자기 자신을 남편이 아닌‘아빠’라고 지칭하는 데서는 이 편지가 애초에 아내에게 보낸 것인지 딸에게 보낸 것인지 헷갈릴 정도입니다만,이 편지의 원소장처인 국가기록원에는‘자유에 십자군 개선하는 날 보그픈 은경이를 얼사안으리’라는 내용의,딸에게 보낸 편지가 따로 있다고 합니다.
아,그때의 아버지들은 이렇듯 자기 감정을 표현하는 데 무척이나 투박하고 무뚝뚝했습니다.바나나 잎이라서 글을 축약한 게 아니라 더 문자로 쓸만한 말이 없었기 때문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하지만 가족에 대한 그들의 사랑은 도저히 의심할 수 없고,이토록 투박한 편지의 행간에 뚝뚝 묻어나는 것 같습니다.그리고 대한민국 아버지들의 그런 특징은 지금도 상당 부분 여전하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유석재의 돌발史전’은
역사는 과거의 일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입니다.뉴스의 홍수 속에서 한 줄기 역사의 단면이 드러나는 지점을 잡아 이야기를 풀어갑니다.매주 금요일 새벽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