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로블 게임 추천 디시
NO.2: 로블 공포게임 추천
NO.3: 로블록스 fps 게임 추천
NO.4: 로블록스 게임 추천 2025
NO.5: 로블록스 꿀잼 게임
NO.6: 로블록스 멀티게임 추천
NO.7: 로블록스 스토리 게임 추천
NO.8: 로블록스 친구랑 하기 좋은 게임
애니멀피플
2020년 유행했던‘밈’다시 온라인서 재점화
진화학자 “힘으로는 고릴라가 이기겠지만…”
“평범한 성인 남성 100명과 성체 고릴라 한 마리가 아무런 규칙 없이 싸우면 누가 이길까요?”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낮아 보이는 이런‘엉뚱한 질문’이 최근 영어권 소셜미디어를 휩쓸고 있다.이 질문은 2020년 온라인 커뮤니티에 처음 등장했는데,지난달 말 한 엑스(X) 사용자가 다시금 이‘밈’(meme)을 소환하며 논쟁은 이제 틱톡,유튜브,포커 레이스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소셜 플랫폼에 등장하고 있다.누군가는 “인류는 과거 매머드를 사냥한 적도 있으니 당연히 인간이 이길 것”이라고 하고,또 누군가는 “고릴라는 거의 1톤을 들어 올릴 수 있고,성인 남자를 걸레짝처럼 던져버릴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한 진화학자가 동참했다.
르노 조안느-보요 오스트레일리아 서던크로스대 교수는 지난 1일(현지시각) 과학 전문 매체‘더 컨버세이션’에 “솔직히 말해,이건 꼭 답이 필요한 질문은 아니지만,이‘유치한 논쟁’이 인류의 진화를 되돌아볼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의견을 밝혔다.그의 글을 보면,다바오 포커 안드로이드고릴라는 인간의 가장 가까운‘친척’중 하나다.침팬지,보노보,오랑우탄과 함께‘사람과’(Hominidae)에 속하며,인간과 디엔에이(DNA) 98.4%를 공유한다.인간과 고릴라의 마지막 공통 조상은 약 1000만년 전 존재했으며,이는 침팬지의 조상이기도 하다.
이후에는 “각기 다른 진화의 길”을 걸었는데,고릴라는 울창한 숲과 산악 지대에 적응했고 인간은 더 넓고 열린 환경·다양한 지역으로 서식지를 넓혀갔다고 한다.현재 야생 고릴라의 서식지는 중부 우간다,르완다,콩고민주공화국 등 중부 아프리카의 열대 우림과 산악 지역에 국한돼 있다.서식 형태는 꽤 달라졌지만,공통점도 많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가령 엄지손가락의 구조,다양한 얼굴 표정,복잡한 사회적 행동 등이 그렇다.
고릴라보전단체‘다이앤포시 고릴라 재단’은 성체 고릴라의 몸무게가 160~180㎏에 이르고,키는 168~180㎝에 달하는‘지구 상에서 가장 큰 영장류’라고 설명한다.고릴라는 최대 1톤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강인한 상체 힘을 지녔지만 “차분하고 관대한 성격으로도 유명”하다.다른 영장류들처럼 무리 내에서 다양한 사회생활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며,울음소리·몸짓·가슴치기(Drumming) 등으로 다른 개체와 의사소통한다.수화를 사용하거나 죽은 동료를 애도하는 등 소통·공감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한편 인간은 다른 포유류에 비해 신체적으로 그리 강하지 못하다.그렇다면‘숲의 지배자’고릴라 1마리와 100명이 맞붙어도 패배하게 될까.조안느-보요 교수는 “명확히 말하지만,순수한 힘으로는 고릴리가 항상 이길 것”이라고 단언했다.“일대일 맨손 싸움이라면 고릴라는 한 손으로 인간을 죽으로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인간에게는 다른‘슈퍼 파워’가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바카라사이트 순위이 소리는 최대 1㎞ 밖까지 전달된다.다이앤포시 고릴라 재단 누리집 갈무리" style="text-align: center;">
인간의 뇌는 고릴라보다 체중 대비 약 3배 정도 큰데,이 놀라운 진화적 적응 덕분에 인간은 추상적 사고,상징적 언어를 발달시켰고 무엇보다 복잡한 지식을 세대에 걸쳐 전수·축적할 수 있게 됐다.그 때문에 고릴라가 최대 30명 정도의‘작은 사회단위’를 이룰 때,인간은 더 광대한 집단을 이룰 수 있었다.그는 “인류의 진화사는 거친 힘을 버리고 사회·문화·기술의 복잡성을 택한 역사”라며 “이것이 바로 인간의 최고 슈퍼 파워”라고 했다.
그러니 지금까지의 진화에 비춰봤을 때,인간은 처음엔 고릴라와의 전투에서 많이 질 수도 있지만 결국 이‘전쟁’에서 이길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그는 “1980년대 이후 고릴라들이 멸종위기에 처한 것도 결국 우리 책임이라는 점을 떠올릴 필요가 있다”면서 “중요한 것은‘누가 싸움에서 이길까’가 아니라,둘 다 자연의 경이롭고 소중한 성취물이란 점을 깨닫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