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스포츠 실시간 중계 벳 피스트 놀 검소 - 2025년 실시간 업데이트
세종 아파트 시장이 정치 변수로 출렁이는 모습이다.
1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이달 10일까지 신고된 4월 세종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는 총 1천290건(계약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4월 계약은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아직 20여일이 남았지만 이미 3월 거래량(784건)보다 500건 이상 많다.
세종시 아파트 거래량은 올해 1월 305건에 이어 2월까지도 374건에 그쳤으나 4월 들어 주요 정당들이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시 이전,행정수도 이전을 위한 개헌 추진 등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거래량이 1천290건으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올해 1월부터 5월 현재까지 누적 거래량도 총 2천867건을 기록하며 작년 동기 거래량(1천407건)의 2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아파트값 상승세도 이어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세종시 아파트값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3월까지도 약세가 지속됐으나 4월 둘째 주에 0.04% 올라 지난해 11월 둘째 주(0.10%)에 이어 1년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이어 4월 셋째 주 0.23%,리니지 홍보사이트4월 마지막 주에는 0.49%로 오름폭이 커졌고,이달 첫 주도 0.40%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세종시 아파트 시장은 지난 2020년 21대 총선에서도 다수당을 차지한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세종의사당 건설과 대통령 집무실 설치를 추진하면서 아파트값이 2020년 한 해 동안 무려 44.93%나 폭등했다.
이는 세종시에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한 2013년 조사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이다.
그러나 이듬해부터 아파트값(-0.78%)이 떨어지기 시작해 2022년에는 17.12%나 급락했고,지난해까지도 4년 연속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까지 4년간 누적 하락률은 26.28%에 달한다.
한국부동산원 기준 세종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도 2021년 7월 7억2천727만7천원까지 올랐다가 올해 3월 기준 5억1천95만8천원으로 떨어져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대선 공약이 명확해지고,대통령실과 국회 이전 등이 현실화하면 세종시 아파트값 상승세가 장기화할 수 있다고 본다.반대로 대통령실 이전이나 행정수도 이전이 다시 무산되면 가격 거품이 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