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마작 일번가 영어
[기고] 꿈의 나라로 가는 죽음의 길 (6)
19세기 중반 들어 노예무역이 금지되자 노동력 부족을 메우려고 영국이 앞장서 유럽에서 계약노동자들을 식민지로 데려가 부렸지만 임금이 비싸 수지가 맞지 않았다.영국이 눈을 아시아로 돌렸다.주로 인도,중국에서 일꾼들을 계약이란 형식을 빌려서 데려갔는데 계약기간은 보통 10년 이상이었다.그들을 쿨리라고 불렸다.
명나라를 쫓아내고 중원을 차지한 청나라가 남중국해안의 잔명세력을 소탕한 다음에는 해금령을 해제했지만 해외이주는 여전히 금지했었다.그러나 청나라가 1차 아편전쟁에서 영국한테 패배한 이후에는 사정이 크게 달라졌다.영국의 강압에 의해 인력수출 자유화가 이뤄졌던 것이다.그에 따라 영국이 중국인 일꾼들을 미국에 데려다 팔았다.
2차 아편전쟁이 끝난 지 8년이 지나서 미국이 1868년 청나라와 벌링게임 조약(Burlingame Treaty)을 체결했다.그 조약에 의거해 미국이 중국인 일꾼을 직접 수입하는 길이 열렸다.그에 따라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쿨리를 선발하는 과정이 영국에 비해 자발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었었다.
그러나 막상 미국에 도착하면 중국인의 작업조건과 노동환경이 혹독하기 그지없었다.무엇보다도 중국인의 품삯이 인디언과 흑인의 그것보다 훨씬 쌌다.노동력 부족사태가 심각한데도 불구하고 중국인의 작업환경이 너무나 열악하여 무수한 생명이 쓰러져 나갔다.대형토목공사는 중국인 쿨리의 공동묘지나 다름없었다.인종차별도 극심했다.
중국인은 미국인들이 말하는 이른바 유색인종이다.중국인 쿨리가 늘어나자 미국에서 반중감정이 격앙되는가 싶더니 중국인 배척운동이 일어났다.선동가들은 중국 놈들과 같이 사느니 차라리 죽은 게 낫다며 반중감정을 부추겼다.끝내 살벌한 축출운동이 벌어져 곳곳에서 중국인에 대한 폭행사건이 잇달았다.
각종 대형토목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 일자리가 줄어들자 구직경쟁이 치열해졌다.거기에다 남북전쟁이 끝나면서 불황이 겹치자 노동조합의 백인간부들이 중국인 축출운동에 앞장섰다.백인의 일자리를 뺏는 중국인들을 쫓아내야 한다며 폭력행사를 예사로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