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NVMe 슬롯 확인
NO.2: Sata M.2 혼용
NO.3: m.2 nvme to sata 컨버터
NO.4: m.2 sata nvme 차이
NO.5: m.2 sata nvme 호환
NO.6: m.2 sata ssd
NO.7: m.2 sata 컨버터
NO.8: m.2 슬롯 확장
NO.9: nvme 슬롯에 sata
NO.10: 메인보드 m2 슬롯 확인
[헤럴드경제(성남)=박정규 기자]분당서울대병원 외과 오흥권 교수팀(아주대병원 이태균 교수)이 복강경 대장암 수술 후 회복경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어로 검증된 평가도구를 활용해 수술 직후부터 1년까지의 회복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는데,대부분의 환자들은 수술 후 평균 6.4주가 지나면 수술 전 수준으로 삶의 질이 회복 된 것으로 밝혀졌다.
대장암 수술 후 삶의 질 평가는 수술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최적화된 환자 관리에 있어서도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하지만 장기적인 삶의 질 변화를 추적한 연구는 대부분 단편적이었고 한국어로 만들어진 검증된 평가 도구 역시 부재한 상황이다.
오흥권 교수팀은‘위장관 삶의 질 지수(Gastrointestinal Quality of Life Index,GIQLI)’의 한국어판을 개발했다.GIQLI는 소화기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로 ▷증상(복통 등) ▷신체 기능(일상 활동 능력)▷사회 기능(대인 관계 등) ▷감정 상태(불안 등) ▷의료적 치료 효과(치료 만족도 등)를 포괄적으로 평가한다.
이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4개 대학병원에서 복강경 대장암 수술을 받은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GIQLI 한국어판을 활용해 수술 전,수술 후 1주,할만한 무료 pc게임3주,6개월,1년 시점에 환자의 회복 과정과 삶의 질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환자들은 수술에 따른 일시적인 불편함으로 삶의 질 지수가 낮아졌지만,대부분 짧은 시간 내에 회복하면서 삶의 질 지수가 향상된 사실을 확인했다.실제로 수술 전 GIQLI 점수는 수술 전 평균 106.2점에서 수술 1주 후 92.7점으로 낮아졌지만,6개월 후에는 104.6점,1년 후에는 113.4점으로 오히려 수술 전보다 높아진 결과를 보였다.
수술 전 상태로 의미 있는 수준까지 회복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6.4주였는데,이는 대부분의 환자가 수술 후 약 6주 정도면 수술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삶의 질이 회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복강경 대장암 수술 후 GIQLI 점수 변화 추이.수술 직후에는 급격히 낮아졌지만,수술 6개월 후부터 수술 전 수준과 비슷해지고,수술 1년이 지나면 오히려 수술전 보다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오흥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복강경 대장암 수술 후 회복경과를 장기추적하고 과학적으로 규명한 첫 연구”라며 “한국어판 GIQLI를 활용해 환자들의 경험과 문화적 맥락을 반영해 평가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덧붙여 오 교수는 “연구 결과와 같이 대부분의 환자가 수술 후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삶의 질을 회복하고,장기적으로는 수술 전보다 더 나아진다는 긍정적 메시지가 확인된 만큼,앞으로는 환자의 삶의 질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중재 전략 개발과 검증에도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과 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의 지원으로 진행됐으며,연구 결과는 유럽대장항문외과학회가 발행하는 SCI(E) 국제 학술지‘Colorectal Disease’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