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검빛 경마예상지
NO.2: 검빛경마
NO.3: 경마문화
NO.4: 경마문화 예상지
NO.5: 경마왕
NO.6: 경마왕 인기도
NO.7: 경마왕 코리아레이스
NO.8: 경마왕예상지
NO.9: 무료 경마 종합지
NO.10: 무료경마예상지
NO.11: 서울경마예상지
NO.12: 스피드경마예상지
NO.13: 에이스경마예상지
"역사상 가장 다양한 지리적 구성의 콘클라베서 이틀만에 선출"
군사·경제 유일 패권국이 교황까지 가질 수 없단 인식 깨져…"美 역할 바뀐 탓"
(런던=뉴스1) 이지예 객원기자 = 사상 첫 미국 출신 교황의 탄생을 두고 초강대국으로의 쏠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오히려 이는 초강대국 미국의 쇠퇴를 의미한다는 분석이 동시에 나온다.레오 14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등장 이후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새 교황으로 선출됐다.
미국 출신인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은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뒤를 이어 8일(현지시간) 제267대 교황 레오 14세로 즉위했다.콘클라베(추기경 비밀회의)는 일각에서 제기된 투표 장기화 우려가 무색하게 둘째날 신속하게 신임 교황을 뽑았다.
미 시사지 애틀랜틱은 "가톨릭 역사상 최초 미국인 교황이라는 중대한 이정표를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건 그가 역사상 가장 지리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된 교황 선거인단에 의해 이틀 만에 선출됐다는 사실"이라고 했다.
매체는 "더욱 놀라운 것은 사상 최초의 미국인 교황이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 선출됐다는 점"이라면서 "미국 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갈수록 논쟁적 입장을 취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가톨릭교회 내부적으로 미국인 교황은 오랫동안 금기시 됐다.미국이 세계 최강의 군사·경제 패권국으로 군림하고 있는데,카지노입플세계 최대 규모 종교의 지도자마저 미국인이면 지정학과 문화 측면에서 국제사회의 세력 균형이 흔들릴 거란 우려 때문이었다.
이에 '미국이 정치적으로 쇠퇴하기 전까지 미국인 교황은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뉴욕타임스(NYT)의 제이슨 호로비츠 로마 지부장은 "세상이 뒤집힌 가운데 바티칸에서도 오랜 금기가 깨지고 있다"며 "미국 출신 교황은 여러 세대에 걸쳐 바티칸에서 상상조차 할 수 없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교황 레오 14세는 중도 온건 성향으로 분류되지만 이민자 포용과 환경 보호 같은 영역에선 진보이던 프란치스코 교황과 같은 노선이다.그는 즉위 직후 첫 대중 강론에서 "대화를 통해 다리를 세우자"고 강조했다.
하워드 추아이언 블룸버그통신 칼럼니스트는 "그(레오 14세)는 이제 14억 명에 달하는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목자"라면서 "미국은 단지 그가 태어난 곳일 뿐"이라고 말했다.
가톨릭 평론가인 오스틴 이베레이는 BBC방송에 미국 출신 교황 선출은 콘클라베가 오늘날 지정학적 세력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초강대국이기 때문에 미국인 교황은 안 된다는 것이 항상 전제였다"면서 "하지만 이제 세계에서 미국의 역할이 바뀌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