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카지노 8화 다시보기
NO.2: 카지노 8화보기
NO.3: 카지노 8회
NO.4: 카지노 시즌 2 6화 다시보기
NO.5: 카지노 시즌2 1화 다시보기
NO.6: 카지노 시즌2 다시보기
美,약가 인하+의약품 관세 동시 추진…바이오시밀러 확대는 '기회'
관세부과 시 美생산시설 없는 국내업체 '악영향'…정부 "관세 불필요" 전달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약품 정책이 국내 제약업계의 혼란을 가중하고 있다.'약값 인하' 정책은 기회가 될 수 있지만 관세 부과는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오리지널 의약품의 복제약인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도입을 확대해 자국민의 약값 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국내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기회를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현재 셀트리온은 9개 제품 허가를 받아 7개 제품을 출시했고,삼성바이오에피스는 10개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받아 6개 제품을 시장에 내놨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 방침은 국내 업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는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당하고 있다"며 "향후 2주 내" 의약품 관세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가 부과돼 가격 경쟁력이 약해지면 국내 기업 수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바이오시밀러는 가격에 민감해 제품가격이 오르면 시장에서 외면받기 쉽기 때문이다.
주요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에도 위기로 작용할 수 있다.롯데바이오로직스를 제외하곤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GC녹십자,바이넥스 등 국내 주요 위탁개발생산 업체들은 미국 현지에 생산기지가 없는 상황이다.
반면 일라이릴리,머크,파라오슬롯로슈 등 글로벌 빅파마는 총 수백조 원 규모의 미국 내 생산시설 확대 계획을 발표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호응하고 있다.
위탁생산 계약은 장기계약으로 이뤄지는 데다 글로벌 빅파마가 당장 의약품 공장 건설을 시작하더라도 설계-착공-완공을 거쳐 본격적으로 가동하기까지 3~5년이 소요되는 만큼 국내 CDMO업체에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다만 주요 고객사인 글로벌 빅파마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 구축을 완료해 자체 생산에 돌입할 경우 국내 CDMO업체도 중장기적으로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내 제약업계는 아직까진 구체적 대응 방안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관세를 어떤 품목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할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관세 부과가 미국 내 물가 상승을 불러와 트럼프 행정부를 압박할 수 있는 만큼 관세 정책이 얼마나 지속될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글로벌 빅파마들의 투자 발표가 실제로 이행되는지 여부도 지켜봐야 한다.미국 내 생산시설 구축이 완료돼 대량생산을 시작하기 전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기 때문이다.
정부는 국내 업체 보호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보건복지부는 미국 상무부의 수입 의약품 안보영향 조사와 관련 지난 4일 "(한국 의약품에 관한) 관세조치는 불필요하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지난달 25일엔 '바이오헬스산업 관세피해지원센터'를 설치했다.수출 규제 및 관세 장벽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론 통상 위험 관리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약가 인하와 의약품 관세 부과는 상충될 수 있어 미국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개별 기업들의 구체적 대응책은 관세 부과에 관한 구체적 내용이 나와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