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테이블 탑 시뮬레이터 블랙 잭
시중은행이 예금금리를 낮추면서도 대출금리 인하를 망설이면서 예대금리차(대출-예금 금리)가 8개월 가까이 확대됐다.이에 금리 인하 효과가 금융 소비자에게 제대로 전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서 취급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은행별로 1.38∼1.55%포인트로 공시됐다.이는 햇살론 등 서민금융 상품은 제외한 결과다.
은행별 예대금리차 평균도 지난해 8월 0.57%포인트에서 지난 3월 1.47%포인트까지 8개월째 확대 중이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3월 예대금리차가 7.17%포인트로 압도적으로 컸다.이어 한국씨티은행(2.71%포인트),제주은행(2.65%포인트),토토로 배토스뱅크(2.46%포인트) 순으로 예대금리차가 컸다.
이처럼 은행권의 예대금리차가 벌어진 이유는 가계 빚 관리와 맞물려 있다.지난해 3분기 수도권 주택거래와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은 은행들에 대출 수요 억제를 주문했고,각 은행은 가산금리를 인상해 대출을 관리했다.그러나 지난해 10월 금리인하기로 돌입한 뒤에도 은행들은 가산금리 인상분을 충분히 내리지 않았고,카지노 시즌2 다시보기 8화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급증 우려가 커지면서 이런 경향은 더 강해졌다.이와 별개로 은행들은 시장금리와 기준금리 하락을 이유로 예금금리를 빠르게 내렸고,결과적으로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
지난달에도 은행들은 줄줄이 예금금리를 낮췄다. SC제일은행은 23일 5개 예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0.15%포인트 낮췄고,같은 날 카카오뱅크도 정기예금과 자유적금 금리를 0.10∼0.15%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면서 은행권은 여전히 대출 가산금리를 낮추기 어렵다는 분위기다.4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43조848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5337억원 급증했다.이는 지난해 9월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