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Pokémon TCG Live apk
NO.2: poke-tcg 사이트
NO.3: 寶可夢 朱/紫
NO.4: 포켓몬 TCG 갤러리
NO.5: 포켓몬 TCG 라이브 다운로드
NO.6: 포켓몬 TCG 모바일
NO.7: 포켓몬 TCG 온라인 다운로드
NO.8: 포켓몬 TCG 온라인 한글
NO.9: 포켓몬 tcg 라이브
NO.10: 포켓몬 tcg 라이브 다운로드
NO.11: 포켓몬 tcg 라이브 디시
현금성자산 105조…추가 M&A 주목
로봇·전장·공조 등 M&A 후보군 꼽혀
"올 하반기 M&A 나설 가능성도"
현재 삼성전자의 현금성 자산은 100조원을 넘는 만큼 로봇,냉난방공조(HVAC),메디테크(의료기기) 등 성장 가능성이 큰 첨단 분야에서 M&A 드라이브를 걸 지 주목된다.
8일 업게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최근 3억5000만 달러(5000억원)를 들여 미국 마시모사의 오디오 사업부를 인수한 데 이어 또 다른 M&A 가능성이 제기된다.
삼성전자의 마시모사 인수는 지난 2019년 9조원을 투자해 하만을 인수한 이래 9년 만에 이뤄진 M&A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를 기점으로 M&A 시장에 다시 뛰어들 수 있다고 관측한다.이번 M&A의 인수 금액은 5000억원으로 삼성전자 회사 규모에 비해선 낮은 데다 오디오 사업 중심이어서 AI 시대에 확장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그만큼 삼성전자는 AI와 연계되는 신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이번보다 더 큰 규모의 추가 M&A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올 1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05조1336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조 단위 M&A를 실행할 수 있다.
대규모 자금을 감안할 때 삼성전자가 추진할 M&A 후보 분야로는 로봇,슬롯머신 합법AI,전장,도박중독 캠페인냉난방공조,메디테크 등이 꼽힌다.이들 분야 모두 시장 확장 초기로,성장성이 커 삼성전자도 유력 기업을 인수할 가능성이 제기된다.삼성전자는 이들 분야에서 M&A를 시도하고 있고,많은 부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해 12월 국내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됐는데,앞으로 휴머노이드,산업·가정용 로봇 등으로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해외 로봇 기업도 인수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하고 레인보우로보틱스 창업자를 단장에 앉히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주력하고 있는 냉난방공조 및 전장 분야에서도 글로벌 기업을 인수 가능성이 제기된다.지난해 아일랜드의 존슨컨트롤스 냉난방공조 사업부와 글로벌 전장 기업 독일 콘티넨탈의 전장사업 부문 인수를 추진한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삼성전자의 추가 M&A 시점은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 확대로 반도체 매출이 안정될 수 있는 올 하반기가 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AI를 접목할 수 있는 분야에서 또 한번 M&A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며 "올해가 M&A 인수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