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독감 주사 타이레놀
NO.2: 독감주사 맞고 감기약
NO.3: 독감주사 맞고 약
NO.4: 독감주사 타이레놀
네이버,핀벳88검색·커머스 AI 조기 적용에 '호실적'
카카오,콘텐츠 부진·AI 성과 부재에 실적 ↓
“하반기 실적,AI 사업 성과가 승부 가를 것”
11일 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7868억원,온라인 게임 추천 디시영업이익 505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잠정실적을 공시했다.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지난해 1분기 대비 10.3%,15.0% 증가한 수치다.
네이버의 실적 호조 배경에는 AI가 있다.검색과 커머스를 중심으로 생성형 AI 기술을 조기에 적용하면서 플랫폼 전반의 광고 효율을 높이고 개인화된 이용자 경험을 확장한 점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실제로 광고와 검색이 포함된 서치플랫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1조127억원,커머스 매출은 12.0% 늘어난 7879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카카오는 콘텐츠 부진과 AI 대응 지연이 겹치며 1분기 실적이 악화됐다.카카오는 이 기간 매출 1조8637억원,영업이익 1054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3%,12.4% 줄어든 것이다.
AI 신사업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가 없었다.최승호 DS투자증권 연구원은 "AI라는 거대한 파도를 맞이하며 카카오의 시작과 성장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현재는 AI 서비스 태동기다.시장선점이 아직 유효한 시기"라고 짚었다.
이에 두 회사 모두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AI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본격 키워내겠다는 전략이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AI 브리핑과 추천 시스템을 고도화한다.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연내 앱과 통합 검색을 개편해 콘텐츠 추천과 개인화된 검색 경험을 더욱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AI 브리핑 적용 이후 클릭률과 체류 시간이 증가하는 긍정적 신호가 확인됐다.네이버 앱의 공간 배치와 지면 구성의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사용자 동선을 개인화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더 많은 시간을 네이버 생태계 내에서 보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이달 7일부터 생성형 AI 기반 메신저 '카나나'의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했다.대화 문맥을 이해해 개인 맞춤형 응답을 제공하는 초개인화 AI 서비스다.하반기에는 쇼핑·로컬·검색 기능과 결합해 카카오톡 전면 개편과 함께 도입할 예정이다.오픈AI와 공동 개발 중인 생성형 검색 기능도 연내 적용을 목표로 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메이트와 생성형 검색을 통한 AI 서비스들도 카나나 브랜드를 함께 활용할 것"이라며 "쇼핑은 카카오톡 내 커머스 자산과 결합하고,로컬은 카카오맵과 연동해 서비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와 협업에 대해서는 "큰 방향성에 대해 합의하고 개발 단계에서 본격 협업을 진행 중"이라며 "연내 모든 이용자가 카카오의 에이전틱 AI 생태계를 통한 새로운 AI를 경험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증권가에선 하반기 실적 흐름 역시 AI 사업의 성과에 따라 갈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이승훈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네이버는 온서비스 AI 전략이 실적에 가시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며 "데이터와 플랫폼 자산을 기반으로 검색과 커머스 연결 구조를 빠르게 고도화하는 점이 강점"이라고 분석했다.이준호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카나나의 CBT를 시작으로 실제 발견 탭 개편,포이펫 바카라AI 생성형 검색 적용 등의 초기 성과가 확인된다면 실적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