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CBDC 뜻
NO.2: cbdc 도입국가
NO.3: cbdc 블록체인
NO.4: cbdc 비트코인 관계
NO.5: cbdc 스테이블코인
NO.6: cbdc 암호 화폐 차이
NO.7: cbdc 코인종류
NO.8: 디지털 화폐 종류
NO.9: 디지털화폐
NO.10: 전자화폐
美의회 의원들 보유주식으로 포트폴리오 만든 ETF
공화당ETF GOP 가치주,민주당ETF NANC 기술주 중심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참모들이 최근 관세정책과 관련된 폭락장에서 대거 주식을 사고 팔아서 큰 차익을 봤다는 소식을 들어보셨을텐데요.
그 정도면 주식사기가 아닌가 싶은데,실제로 미국에서도 내부자의 미공개정보 활용사례라는 비판과 함께 관련 수사움직임까지 있을 정도로 비판이 거셉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런 일이 반복되는 이유도 있는데요.미국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정치권의 주식투자가 훨씬 활발하다는 겁니다.미국연방의 상하원 중 약 4분의 1이 본인이나 가족 명의로 주식투자를 하고 있고,거래금액도 수억달러에 달한다고 하죠.
심지어 각 정당 의원들이 어디에 투자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서 그 종목들을 추종하는 ETF(상장지수펀드)까지 상장돼 있습니다.
이런 것이 가능한 이유는 2012년에 제정된 STOCK법(Stop Trading on Congressional Knowledge Act) 때문인데요. STOCK법에는 국회의원과 연방정부 고위 공직자의 주식거래 내역을 30일~45일 이내에 공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거든요.
비공개정보를 이용해 내부자거래를 할 수 없도록 예방하기 위해서인데,팔월드 교배 조합 사이트거래 자체는 허용하고 있어서 실효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기도 합니다.보고가 늦었더라도 약 200달러 정도의 벌금만 물면 되거든요.
최근에는 국회의원과 그 가족이 개별주식 자체를 보유 및 거래하지 못하도록 하고,자산을 위탁하도록 하는 내용의 개혁법안들도 발의돼 있는데요.당사자인 본인들이 걸려 있는 문제여서인지 아직까지 의회 표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덕분에(?) 미국주식 투자자들은 이들 정치인들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쉽게 확인할 수도 있는데요.이런 정치인들의 투자방향을 따라가려면 관련 ETF를 살펴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공화당 ETF는 'GOP',민주당 ETF는 'NANC'
실제로 미국에는 국회의원들의 주식거래내역을 추적해서 투자하는 ETF가 존재하는데요.공화당과 민주당,각 당을 구분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미국의 정치 주도권을 누가 쥐고 있는지,시장의 동향 및 내 투자성향과는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판단해서 골라볼 수 있습니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을 만든 공화당 소속 의원들의 거래를 추적하는 공화당 트레이딩 ETF는'GOP'(옛 KRUZ)라고 부르고요.민주당 의원들의 거래를 추적하는 민주당 트레이딩 ETF는 'NANC'가 있습니다.
두 정당의 정책이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에 이들 ETF의 포트폴리오도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요.
공화당 트레이딩 ETF인 GOP는 금융,좀보이드 퀵슬롯에너지,산업중심의 가치주 포트폴리오이고,민주당 트레이딩 ETF인 NANC는 빅테크 기술주 중심의 성장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종목별 비중으로 보면 GOP는 JP모건,아이셰어즈 비트코인ETF,컴포트 시스템즈,AT&T,영 블랙잭 ed 다운엔비디아가 상위 5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요.NANC는 엔비디아,MS소프트,아마존,세일즈포스,디스코드 바카라시티알파벳C가 상위 5개 투자비중을 차지합니다.
금융과 에너지분야에 더 투자하고 싶다면 GOP,빅테크에 더 투자하고싶다면 NANC를 선택하면 되겠죠.
전통적으로 미국 기업들의 수익률이 좋았기 때문에 두 ETF 모두 수익률은 좋은 편인데요.하지만 트럼프 관세정책 여파로 최근 수익률은 모두 마이너스를 보입니다.공화당ETF인 GOP가 그나마 좀 덜할 뿐이죠.
GOP vs NANC 수익률 비교(2025년 5월 7일 종가 기준)
- 1년 : GOP 22.5%,NANC 33%
- 6개월 : GOP -1.6%,NANC -5.8%
- 3개월 : GOP -0.2%,NANC -10.5%
이들 ETF에 투자할 때에는 당연히 정치적인 이벤트에 주목해야 하는데요.집권당이 바뀌거나 특정 산업에 대한 규제정책이 언제 어떻게 발표되는지에 따라 투자비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NANC는 기술주,GOP는 금융에너지 등 각각 특정 종목에 비중이 쏠려 있다는 점에서 시장 전체와는 다른 방향으로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겠죠.
의원들의 매매내역이 실시간으로 공개되지 않고 최대 45일까지 지연 공개되고,이 마저도 지키지 않는 의원들이 적지 않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각각 운용사에서 공개하는 실시간 운영 포트폴리오를 꼭 확인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