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좀보이드 noir's attachments 사용법
NO.2: 좀보이드 가방 모드
NO.3: 좀보이드 가방 보관함 슬롯
NO.4: 좀보이드 가방 부착물 모드
NO.5: 좀보이드 가방 슬롯
NO.6: 좀보이드 가방 슬롯 모드
NO.7: 좀보이드 가방 업그레이드
NO.8: 좀보이드 배낭 아이템 슬롯
NO.9: 좀보이드 보조가방
NO.10: 좀보이드 카라비너
NO.11: 좀보이드 퀵슬롯 모드
작년 최연소 국가기술자격 보유자 민영이
“메추라기 먹이통 만들려고···수의사 꿈”
시험 응시할 때 가족이 열성적으로 응원
입사 사교육에···아이를 위한 길 되물어
[서울경제]
“앞으로 동물들에 필요한 기구를 직접 만들거나나 아픈 동물을 치료해주는 수의사가 되고 싶어요.”
서울 서강초등학교에 다니는 이민영(10세)군은 수의사가 되고 싶다고 했다.여느 부모라면 이 군에게 수의사가 되는 길을 밤 늦게까지 국영수 학원 다니기로 제시했을 것이다.7살 고시에 이어 4살 고시란 말이 돌 정도로 사회와 대부분 부모는 소위 좋은 대학이 자녀의 성공이고 방법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이 군은 작년 3D프린터운용기능사 자격을 얻었다.9살 나이로 국가기술자격 중 하나인 이 자격증을 획득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3D프린터에 대한 원리와 구조를 이해해야 하고 설계도 배워야 한다.물론 실기시험도 통과해야 한다.여러 번 포기하려고 했던 이 군은 결국 작년 국가기술자격 최연소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 군이 이 자격증을 딴 이유가 어린이답다.이 군은 자신이 키우던 메추라기에 먹이통과 장난감을 선물하고 싶었다.3D프린터를 활용하면 단순한 시제품뿐만 아니라 복잡한 기술이 필요한 제품도 만들 수 있다.이 군은 자신감이 늘었다.이 군은 “우리 어린이도 열심히 노력하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며 “기술과 능력으로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군의 당찬 꿈에 어른들도 놀랐다.이 군과 같은 어린이를 키우는 부모와 가족도 달랐다고 한다.이 군의 사례를 비롯해 어린이 국가기술자격 현황을 일반에 공개한 고용노동부 한 관계자는 “자격 시험장을 가면 응시하는 아이들의 가족이 모두 모여 열띤 응원전을 펼친다”며 “학생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집에서도‘형,스포츠토토 커뮤니티누나가 어려운 용어를 설명해서 좋다’고 한다,국가기술자격을 딴 어린이는 가족의 모두의 응원을 받는다”라고 말했다.
이 군과 같은 어린이들은 아직 우리 사회에 적다.대부분 부모라면 자녀에게 어려서 기술을 배우기 보다 좋은 대학이 우선이라고할 게 뻔하다.실제로 2022~2024년 국가기술자격 현황을 보면 만 12세 미만 어린이 505명만 응시했다.이 중 3분의 1 수준인 175명만 합격했다.대부분 합격 종목은 평소 어린이들도 접하기 쉬운 컴퓨터와 관련된 자격증이다.소수지만,어른들 못지 않은 기술자도 있다.지게차운전기능사가 3명,종자기능사가 2명,자동차정비기능사가 1명이다.물론 어린이들은 지게차운전기능사가 돼도 운전면허를 얻어야 지게차를 몰 수 있다.
고용부는 우리 사회가 기술의 가치를 더 중요하게 볼 여건을 만든다면 더 많은 어린이들의 꿈을 응원해줄 수 있다고 자신한다.고용부는 산하기관인 한국폴리텍대학과 전국 35개 캠퍼스에 무료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이 곳은‘꿈드림공작소’로 불린다.작년에만 4만1000여명이 이 곳을 다녀갔다.임영미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고용부는 어린이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기험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