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 경마 출마표 - 금요경마결과
NO.1: 경마언제시작하나요
NO.2: 금요 경마 출마표
NO.3: 금요경마결과
NO.4: 금요경마예상
NO.5: 렛츠런파크 경마일정
NO.6: 부산경마출마표
NO.7: 서울경마결과
NO.8: 서울경마일정
NO.9: 서울경마출마표
NO.10: 오늘경마하나요
더스쿠프 커버스토리 視리즈
햄버거와 사모펀드의 함수 2편
자본잠식 상태 빠졌던
맥도날드 새 주인 맞아
카타르 기업,운영권 가져
2030년 매장 500개 목표
부실기업 꼬리표 떼내야
10개월 만에 또 가격 인상
수익 경영 펼치는 이유
맥도날드는 지난해 카타르 기업 카말 알 마나를 새 주인으로 맞았다.[사진|뉴시스] # 햄버거가 '금金버거'가 됐다.맥도날드·버거킹 등 주요 햄버거 브랜드들이 가격 인상을 거듭해온 결과다.햄버거 브랜드들은 "원재료·물류비 등 제반 비용 상승"을 가격 인상의 이유로 꼽고 있지만,설득력이 떨어진다.지난해 햄버거 브랜드들의 매출원가율은 전년 대비 되레 하락했기 때문이다.햄버거 가격 인상에 숨은 역설이다.
# 문제는 또 있다.'비싸진 햄버거'에 소비자들의 불만은 커졌지만,햄버거 브랜드들은 역대급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다.소비자를 볼모로 실적 개선을 꾀했다는 건데,그 배경엔 사모펀드와 인수·합병(M&A)의 역학관계가 자리하고 있다.視리즈 햄버거와 사모펀드의 함수 2편에서 이 이야기를 이어가보자.
우리는 '햄버거와 사모펀드의 함수 1편'에서 소비자를 볼모로 가격을 끌어올린 후 뜬금없이 '실적 홍보'에 나선 햄버거 브랜드들을 살펴봤다.대표적인 브랜드는 '버거킹'이다.버거킹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고,
블랙잭 게임하기영업이익 역시 1년 전보다 60%가량 늘리는 데 성공했다.경영 성과는 높이 살 만하지만,
오토세이브소비자들의 따가운 눈총을 피하진 못했다.소비자 가격을 끌어올린 효과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버거킹이 보란듯이 '실적 홍보'에 나선 건 최대주주가 사모펀드라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2016년 버거킹을 인수한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는 지금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추진하고 있다.2021년 한차례 '엑시트(투자금회수)'를 추진했지만 '높은 매각 희망가격'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 때문에 버거킹의 당면 과제는 기업가치를 끌어올리는 건데,그러기 위해선 괜찮은 실적이 밑바탕에 깔려야 한다.버거킹이 매출원가율이 하락한 상황에서 제품가격을 끌어올린 것도,소비자가 그런 가격 인상에 불편한 시선을 보내고 있는데도 '실적 홍보'를 단행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맥도날드는 어떨까.맥도날드는 왜 '실적 자찬'을 늘어놓은 걸까.버거킹과는 사정이 조금 다르지만 맥도날드에도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 왜➋ 맥도날드와 M&A = 버거킹과 함께 M&A 시장에 매물로 나왔던 맥도날드는 한동안 새 주인을 찾지 못했다.2023년 동원그룹 등이 맥도날드 인수를 타진했지만 서로 다른 '몸값'이 문제였다.한국맥도날드의 지분 100%를 보유한 미국 맥도날드 본사는 5000억원대에 매각을 희망했지만,동원그룹 측은 2000억원대 금액을 제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지부진하던 맥도날드 매각은 지난해 9월 카타르 기업 '카말 알 마나(이하 알 마나)'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알 마나는 미국 맥도날드 본사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고 한국 맥도날드 운영권을 얻었다.
알 마나는 맥도날드와 인연이 깊은 기업이다.1995년부터 미국 맥도날드와 계약을 맺고 마스터프랜차이즈 사업을 펼치고 있다.카타르와 튀르키예에서 맥도날드 사업을 운영하고 있고,싱가포르·말레이시아 맥도날드에도 투자했다.
조 샘펠스 맥도날드 IDL(International Developmental Licensed Markets) 부문 사장은 알 마나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한 지난해 9월 "알 마나와의 파트너십으로 한국 내 매장을 2030년까지 500개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현재 국내 맥도날드 매장이 398개(2024년 말 기준)인 만큼 100개 이상 점포를 늘려야 한다는 거다.
직영점이든 가맹점이든 점포를 확대하기 위해서 맥도날드에 필요한 건 '금전적 여유'다.그런데 맥도날드는 지난해 영업적자의 늪에서 빠져나오긴 했지만,누적 적자는 1679억원(2019~2024년)에 이른다.자본총계도 자본금(315억원)보다 10배나 많은 3737억원으로 자본잠식 상태다.새 주인을 맞은 맥도날드가 수익성 중심의 경영을 펼치고 있는 건 이 때문이다.
햄버거 브랜드의 '실적 홍보' 이면엔 불편한 이유들이 숨어 있다.[사진|뉴시스] 전호겸 서울벤처대학원대 교수(구독경제전략연구센터장)는 "알 마나로선 동북아로 시장을 사업을 확대하거나 기존 맥도날드 사업과 시너지를 위해 한국맥도날드 운영권을 따낸 것으로 보인다"면서 말을 이었다."알 마나가 국내에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선 취약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투자를 이어나가야 한다.이는 장기적으로 가격 인상 등 소비자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햄버거 브랜드의 '실적 홍보' 이면엔 불편한 이유들이 숨어 있다.햄버거 브랜드로선 어쩔 수 없는 선택지일지 모르지만,소비자에겐 부메랑이 날아갈 수밖에 없다.'김영호유통아카데미' 김영호 대표는 "외식 브랜드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운영 주체를 찾는 게 중요하다"면서 "잦은 손바뀜이 일어날 경우 투자금 회수를 위한 경영 기조가 강해질 수 있고 이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가맹점주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맥도날드와 버거킹은 지금 누구를 위해 햄버거를 만들고 있는 걸까.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The 100% privacy-safe noise & occupancy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