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볼 받치기 요율 - 2025년 실시간 업데이트
삼성SDS·네이버 vs LG CNS·NHN클라우드 vs KT·KT클라우드
1차 사업규모 90억원…2027년까지 전부처·공공기관 확대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정부 전용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구축하는 '범정부 초거대AI 공통기반 구현 사업' 입찰에 삼성SDS(018260)·LG CNS(064400)·KT(030200) 3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조달청은 이달 9일 입찰 마감 결과 삼성SDS·LG CNS·KT 컨소시엄이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범정부 초거대AI 공통기반 구현 사업은 정부와 공공기관 공무원들이 보안 문제 없이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AI 컴퓨팅 인프라·AI 모델 등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올해 1차 사업비는 약 90억 원 규모로 시작한다.다만 2027년까지 전 부처·지자체·공공기관 등으로 확대 예정으로 향후 수천억 원 규모의 후속 사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사업은 올해 1월 중소기업 참여지원 예외사업으로 인정받아 대기업 참여가 허용됐다.최종 사업자는 제안서 평가를 거쳐 이달 15일 선정 예정이다.
범정부 초거대AI 공통기반 인프라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내 민간협력형(PPP) 클라우드 존을 기반으로 구축될 예정이다.
PPP는 정부가 보안을 갖춘 클라우드 공간을 제공하고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가 이를 임대해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제공하는 모델이다.현재 PPP 사업자는 △삼성SDS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등 3곳이다.
삼성SDS는 네이버클라우드·포티투마루와 손 잡았다.삼성SDS는 'PPP 클라우드 존' 입주 사업자로서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고 네이버는 자체개발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할 전망이다.포티투마루는 국내 최초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AI 신뢰성 인증을 획득한 'LLM42'를 제공한다.
LG CNS는 NHN클라우드·오케스트로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LG CNS는 LG AI연구원이 자체개발한 추론형 거대언어모델(LLM) AI '엑사원'(EXAONE)을 강점으로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LG CNS는 'DAP GenAI' 플랫폼 등 기업 맞춤 서비스 개발 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KT·KT클라우드 컨소시엄도 자체 개발한 기업 맞춤 AI 설루션 '믿음'(Mi:dm)을 기반으로 AI 경쟁력을 강조할 전망이다.KT는 이번 사업과 연계된 '디지털플랫폼정부(DPG) 통합플랫폼(허브)' 구축 사업도 수행했다.
정부는 최근 1조 8000억 원 규모 AI 분야 추경에 힘입어 GPU 1만 장 연내 확보 및 글로벌 수준의 AI 모델 개발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1차 사업 규모는 크지 않지만 한국형 AI 모델 표준을 선점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어 수주 경쟁이 치열하다"며 "수천억 원 규모 후속 사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국가 안보와도 직결하는 사업인 만큼 기술력과 보안 역량 등이 최종 사업자 선정의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용어설명>
■ PPP 클라우드 존
PPP 클라우드 존(Public-Private Partnership Cloud Zone)은 정부와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가 협력해 공공기관에 보안성과 효율성을 갖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 공간을 의미한다.이 모델은 정부가 국가 데이터센터(대표적으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내에 보안이 강화된 클라우드 인프라(서버·스토리지 등)를 구축하고 민간 클라우드서비스제공업체(CSP)가 이 공간을 임대해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를 설치·운영하는 방식이다.
■ 오케스트로
오케스트로는 2018년 설립된 한국의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기업이다.프라이빗·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운영,포커 현금화서버 가상화,AI·빅데이터 기반 설루션 등 클라우드 전 영역을 아우르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클라우드 풀스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포티투마루
포티투마루(42Maru)는 2015년 설립된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스타트업으로 자연어 처리(NLP)와 딥러닝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포티투마루는 이용자의 질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해 방대한 비정형 데이터 속에서 정답을 찾아내는 딥 시맨틱 TA(질의응답)·QA(질문응답) 설루션을 제공한다.포티투마루가 개발한 기업(B2B) 특화 초거대 언어모델(LLM) LLM42는 한국어 말뭉치 데이터를 대규모로 학습하고 자체 명령어 집합을 통해 미세조정(파인튜닝)된 130억(13B) 파라미터 규모의 AI 언어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