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DDR5 램 슬롯 순서
NO.2: ddr5 램 꽂는법
NO.3: 램 3개 순서
NO.4: 램 4개 장착 순서
NO.5: 램 슬롯 1번 2번
NO.6: 램 슬롯 2개 4개 차이
NO.7: 메인보드 램 슬롯 2개 순서
NO.8: 메인보드 램 슬롯 4개
NO.9: 메인보드 램 슬롯 불량
[AI 인재전쟁 上]인재유출에 특허출원 대비 실용화 역량 낙제점
열악한 연구환경·연봉격차도 극심…"획기적 보상시스템 필요"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한국이 전체 인구 대비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출원 건수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파워볼 전자복권주목할 만한 AI 모델은 1개에 그쳐 실질 AI 경쟁력은 낙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가 발표한 'AI 인덱스 2025'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은 인구 10만 명당 AI 관련 특허등록 건수가 17.3건으로 세계 1위를 기록했다.이는 △중국(6.1건) △미국(5.2건) △일본(4.6건) △독일(1.2건) △싱가포르(1.0건) 등을 크게 앞선 수치다.
그러나 정작 AI 특허 인용지수(CPI)는 뒤처졌다.CPI는 국가·기업·연구기관이 출원한 특허가 다른 특허에 얼마나 자주 인용됐는지 수치화한 것으로 질적 평가 지표로 통용된다.
클래리베이트·KAIST 혁신전략 정책연구센터(CISP)가 발간한 '글로벌 AI 혁신경쟁:현재와 미래' 보고서에서 한국의 AI CPI는 8%로 주요 10개국 평균(14%)을 밑돌았다.특허당 인용 횟수(3.1회)로 미국(13.2회)·일본(6.3회) 대비 크게 낮았다.
HAI 보고서의 '세계적으로 주목(notable)할 만한 AI 모델'(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높은 평가를 받거나 각종 연구 논문에 최소 1000회 이상 인용된 AI 모델)에도 LG AI 연구원의 '엑사원 3.5 32B'가 유일하게 이름 올렸다.
네이버(035420)가 최근 자체 개발 경량 모델 'HyperCLOVAXSEED' 시리즈를 공개한 데 이어 조만간 추론형 모델을 공개할 계획이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지는 미지수다.
AI 관련 특허 출원 성과가 기술 혁신 및 실용화 역량으로 이어지지 않는 근본적 원인으론 AI 핵심 인재 유출이 꼽힌다.
HAI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링크트인에 등록된 1만 명당 AI 인재 이동지표는 -0.3을 기록해 인도·이스라엘에 이어 3번째로 인재 유출이 심각한 국가로 분류됐다.
시카고대 폴슨연구소 산하 싱크탱크 매크로폴로 조사에선 2022년 기준 한국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친 AI 인재 40%가 해외로 떠났다.
인재들이 떠나는 원인으로는 △연봉 격차 △연구 환경 △투자·인프라 부족 등이 지목됐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AI 핵심 인재 연봉은 평균 5억 원(37만 7000달러)에 달한다.외신에 따르면 오픈AI로부터 취업 제안을 받은 후보자 6명이 제안받은 평균 연봉(주식·성과급 포함)은 92만 5000달러(약 13억 2300만 원)에 달했다.
반면 글로벌 전문가채용 컨설팅 기업 로버트월터스에 따르면 한국의 AI 연구원 연봉은 8000만~1억 5000만 원,스포츠토토 배트맨 환급머신러닝 엔지니어는 6000만~1억 2000만원(약 4만 5000달러~9만 달러) 수준이다.연봉 격차가 보통 2~5배에서 최대 10배까지 나는 셈이다.
한국 기업의 단기적 현안·성과에 집중하는 연구 환경도 인재 유출 요인이다.
구글·MS·메타·아마존 등은 장기적 관점에서 연구 자율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인재가 글로벌 빅테크의 고연봉 제안에 떠나는 것을 탓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핵심 인재가 한국에서도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AI 인재의 해외 유출 문제는 지금도 매우 심각한데 저출생·고령화로 앞으로는 절대적 수마저 부족해질 것"이라며 "교육 시스템 개선은 물론 인재들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성과주의 기반 보상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 CPI
CPI(특허인용지수·Combined Patent Impact)는 국가·기업·연구기관이 출원한 특허가 다른 특허에서 얼마나 자주 인용됐는지를 수치화한 지표다.단순히 특허의 양이 아닌 기술적으로 얼마나 영향력 있고 가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질적 평가 지표로 통용된다.
■ 로버트월터스
로버트 월터스(Robert Walters)는 1985년 영국 런던에서 설립된 글로벌 전문가 채용 컨설팅 기업이다.창업주이자 현 CEO인 로버트 월터스 회장이 이끌고 있다.현재 전 세계 5대륙 31개국에 4200여 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로버트 월터스는 다국적 기업·중소기업·스타트업 등 다양한 기업 대상 맞춤형 인재 채용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