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네이버 게임 탈퇴
NO.2: 네이버 라운지 가이드
NO.3: 네이버 라운지 가입 디시
NO.4: 네이버 라운지 가입 무료
NO.5: 네이버 라운지 관리
NO.6: 네이버 라운지 알림
NO.7: 네이버 라운지 탈퇴
NO.8: 네이버 라운지 티켓
8일 베일 벗은 카나나
AI가‘관계’를 읽고‘비즈니스’를 만든다
그룹 대화에서 작동,기존 AI 서비스와 차별
관계 속에서 다양한 서비스와 사업 기회 발굴[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이번에 공개된‘카나나’는 단순한 1:1 챗봇을 넘어 개인 및 그룹방 모두에서 작동하는‘에이전트형 AI’서비스다.일정을 등록하거나 리마인드해주는 기본 기능부터,대화 내용을 분석해 그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황에 맞춰 자연스럽게 개입하는 것이 특징이다.특히 그룹 대화에서의 맥락을 실시간으로 이해하고,사용자 간 관계 형성을 유도하는 점이 기존 서비스와의 가장 큰 차별점이다.
서비스는 두 가지 AI 메이트로 구성돼 있다.개인 메이트‘나나’는 사용자의 개별적인 정보와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개인화된 답변을 제공하고,야구공에 맞고 모든 게 달라졌다
그룹 메이트‘카나’는 사용자가 속한 단체방들,조별 과제,동호회,가족,지인 모임 등에서 대화 내용을 요약하거나,모임 일정을 자동으로 제안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러닝 동호회에서 마라톤 대회 일정에 대해 이야기하면,카나가 이를 파악해 자동으로 일정을 등록하고 알림을 제공하는 식이다.나아가 새로운 러닝 코스를 추천해주거나,이윤희 포커관련 알림을 주기적으로 보내주는 기능도 탑재됐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올해 카카오의 목표는 국내에서 가장 대중화된 AI 서비스를 만들어 이용자 일상에 스며들고 동시에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그는 “카나나 서비스는 대화에 축적되는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맥락을 유추하고 관계를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동시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나나는 카카오 자체 AI 모델과 오픈AI 등 외부 AI를 결합한‘모델 오케스트레이션’전략의 일환으로 개발됐다.실제로 카나나에는 오픈AI의 기술도 함께 적용됐다.이와 같은 협업 전략은 AI 역량을 내재화하면서도 글로벌 기술과의 접점을 유지하려는 카카오의 의지를 반영한다.
카카오는 올해 카나나 외에도 다양한 AI 서비스를 연이어 선보일 계획이다.1분기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AI 메이트 쇼핑’에 이어,연내에는 지역 상권 정보에 특화된‘AI 메이트 로컬’을 신규 출시할 예정이다.문맥 기반 생성형 검색 서비스도 준비 중이며,이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질문에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하는 형태로 진화시킬 계획이다.
정 대표는 “오픈AI와의 협업은 큰 방향성에 대한 합의 아래 개발이 진행 중이며,불독 룰렛연내에는 국내 모든 이용자가 새로운 에이전틱 AI 생태계를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는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연결 기준 매출 1조86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고,영업이익은 1054억 원으로 12% 줄었다.영업이익률은 5.7%에 그쳤는데 카나나를 포함한 AI 신사업을 통해 실적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