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컴퓨터 게임 개론(개정판)
3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
현지 생산 관세는 다소 완화
미국 정부가 자동차에 이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부과하는 25% 관세를 발효했다.한국도 자동차 부품 품목에 대한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업계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월 26일 포고문을 통해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이에 미국 동부시간 기준 오전 12시 1분(한국시간 3일 오후 1시 1분)부터 관세가 시행됐다.
다만 애초 예고한 자동차 부품 관세 정책보다는 완화된 조치로 발효됐다.지난달 29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완성차 생산시설을 보유한 자동차 제조업체의 부담을 덜기 위해 2차 포고문을 수정했다.내년 4월 30일까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한 관세를 1년간 면제하고,내년 5월 1일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는 10%에 해당하는 부품 관세를 면제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그러나 한국에서 수출하는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자동차업계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자동차 관세가 이미 시행되면서 완성차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부품마저 관세 부과를 통한 수요 위축에 따라 수출이 감소할 수 있어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지난해 36.5%를 기록했다.미국이 자동차 부품을 수입하는 비중에서도 한국은 6.4%를 차지한다.금액으로는 135억달러(약 19조원)로 추산된다.
세부적으로는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30억달러),새시 및 구동축 부품(30억달러),바카라로 잃은 돈자동차용 전자·전기 부품(25억달러),이브 카지노 먹튀차체 및 부품(23억달러),엔진 및 부품(13억달러),자동차용 타이어 및 튜브(8억달러) 등이다.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