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카지노 공기업
NO.2: 카지노 딜러 공기업
롯데하이마트,1분기 매출 3.4%↑
영업손실 111억원으로 적자폭 감소
'가전 구독·플럭스' 등 승부수 주목
연간 영업이익 100억원 달성 목표
롯데하이마트는 7일 올 1분기 총매출 665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증가한 수치다.순매출액은 이 기간 0.7% 늘어난 5290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손실은 111억원에 그쳐 적자폭을 약 50억원 줄였다.
회사 측은 "인력 구조 개선을 통한 인적 전문성 확보,하이마트 안심 케어 등을 통한 고객 접점 확대,새로운 전략을 현장에 적극 적용한 점포 리뉴얼 등 전사적 차원의 경쟁력 강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하이마트의 1분기 전 품목 판매수량은 9.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구매고객수는 4.9% 늘었는데 주요 타깃으로 삼은 30~40대가 6.6% 늘었다.제품군별로 보면 생활·주방가전 판매량이 17.4% 증가했다.대형가전과 IT·모바일 판매량은 각각 6.7%,3.3%씩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하이마트는 그간 장기 부진의 늪을 헤어나지 못했다.연간 매출이 마지막으로 증가했던 시기는 2018년.이후 단 한 번도 매출을 늘리지 못했고 지난해 기준 6년 연속 매출액이 감소하는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2021년엔 연간 매출 4조원이 붕괴된 데 이어 2년 뒤인 2023년 3조원대도 사수하지 못했다.지난해 연간 매출도 2조3567억원을 기록하면서 2조원대 성적을 겨우 유지했다.영어이익은 지난해 17억원,영업이익률은 0.07%로 주저앉았다.
롯데하이마트는 가전과 가구를 함께 구매하는 규모가 1조4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롯데하이마트 매장 5곳에도 가구 인테리어 상담이 가능한 공간이 마련됐다.
체험형 가전매장도 문을 열었다.서울 강동구 고덕동에서 문을 연 롯데하이마트 고덕점은 모바일 제품 체험 중심의 '모토피아'를 선보였다.모토피아에선 스마트폰·태블릿·웨어러블 등 모바일 제품을 직접 체험하면서 요금제 상담과 가입·개통을 지원한다.
소형 가전 중심의 수요를 노린 1~2인 가구용 PB '플럭스'도 출시했다.플럭스는 1~2인 가구 수요가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소형 가전을 중심으로 판매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고가의 가전제품을 구독 형태로 이용해 초기 구입 비용 부담을 덜어낼 수 있는 '하이마트 구독'도 지난 1일 선보였다.삼성전자나 LG전자처럼 자사 제품만 구독 형태로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애플·다이슨·로보락·샤크·TCL 등 주요 해외 브랜드 가전을 구독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화 포인트다.전기밥솥·음식물처리기 등도 구독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다.
롯데하이마트는 올해도 지난해와 같이 2조3000억원대 매출을 유지하고 연간 영업이익 100억원을 달성하겠단 목표를 제시했다.목표 달성을 위해 하이마트 구독,강원 랜드 머신 종류플럭스,가전·가구 통합 매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이어가겠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