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미국나이아가라폭포
NO.2: 나이가라폭포 미국
NO.3: 나이아가라폭포 미국
NO.4: 뉴욕 나이아가라폭포
지난 4월19일 국내 인도네시아 공동체는 페이스북에 부고 소식을 전하며 이렇게 썼다.고인의 이름은 무스타크피린.나이는 21살.외아들이다.그는 4월16일 밤 9시34분께 전남 신안군 홍도 서쪽 해상에서 9.77t급 어선을 타고 작업하다가 바다에 빠져 사망했다.고용허가제 어선원 비자(E-9-4)를 받아 한국에 온 지 한달 만이었다.
부고가 전해지기 전날,토토 사이트 굿모닝인도네시아 선원 수기안토(31),디피오 레오(24),비키 셉타 에카(24)는 경북 영덕군 산불 현장에서 마을 주민들을 구한 공로로 한국 정부 표창을 받았다.법무부는 어선원 비자였던 이들에게 특별기여자 거주(F-2) 자격을 부여했다.수기안토는 법무부 표창을 받은 뒤 소감에서 “언젠가 한국에서 선장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지만,이를 영상으로 본 인도네시아인들은 “빨리 제조업이나 건설업으로 옮기라”는 댓글을 달았다.
힘들고 위험한 일을 도맡는 이주노동자 사이에서도 선원 일은 기피 대상이다.해양수산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과 수협중앙회의 설명을 보면,지난해 어선사고 사망·실종자 118명 중 외국인 선원은 35명이었다.특히 지난해(1만4819명) 기준,토토 경부선 제로 사이트외국인 선원이 2019년보다 9.7% 늘어나는 동안 인명 피해는 118.8% 증가했다.외국인 선원 증가 추세보다 인명 피해 증가 추세가 10배 이상 가파른 셈이다.
외국인 선원 사망이 늘어난 것은 기본적으로 어선사고가 늘었기 때문이다.해양수산부 조사를 보면,어선사고 사망·실종자는 2023년 78명에서 2024년 119명으로 41명(52%) 늘었다.2014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업계에서는 기후변화로 수온이 올라 먼바다로 나가는 일이 많아지고,풍랑특보가 더 자주 발효되는데도 무리하게 조업을 하면서 인명 사고가 늘어났다고 분석한다.실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발표를 보면,2024년 어선별 평균 운항시간·운항거리는 전년도보다 각각 7.5%(54.5시간)·7.6%(300.2㎞) 증가했다.
이처럼 이주민 선원들이 죽음으로 내몰리는 동안 이들의 모국에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지난달 23일 압둘 카디르 카르딩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 보호부 장관은 이례적으로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에서 무스타크피린의 시신을 직접 맞이했다.한국에서 숨진 다른 2명과 함께였는데,이 중 1명 역시 선원이었다.카르딩 장관은 “이들은 폭행이 아닌 산업재해로 사망했다”며 “무스타크피린의 가족은 (인도네시아) 정부 보험금을 받게 된다”고 했다.유족이 받을 외아들의 사망 보험금은 8500만루피아(우리 돈 약 726만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