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 무료 베팅 이용 약관 - 2025년 실시간 업데이트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대형 건설사들은 실적 발표를 마무리 했다.각자 실적은 천차만별이지만 시장의 예상에서는 크게 벗어나지 않아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대형 상장 건설사 6곳 중 2곳은 예상치를 상회,2곳은 부합,2곳은 하회했다.
각 사 영업이익과 컨센서스 대비 상/하회 정도를 보면 현대건설은 2137억원으로 12.2%,대우건설은 1513억원으로 78.2% 웃돌았다.DL이앤씨는 810억원으로 5.4%,HDC현대산업개발 540억원으로 6.1% 하회해 컨센서스에 부합한 수준을 기록했다.삼성E&A는 1573억원으로 11.5%,GS건설은 704억원으로 13.4% 밑돌았다.
각 사의 지난해 손실 반영 여부 등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실적 흐름에는 차이가 있다.그러나 컨센서스를 78.2% 웃돈 영업익을 낸 대우건설 정도를 제외하면 일단 큰 변동성 없이 시장의 예상대로 실적을 냈다는 것이 증권가 평가다.대우건설은 예정 원가 조정에 따른 일회성 이익이 300억원 정도 추가 반영된 것이 수익성 개선 이유로 추정된다.
건설공사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건설사들의 수익성 발목을 잡은 원가율 흐름도 주목된다.
현대건설의 경우 지난해 통틀어 100.7%의 원가율을 기록했다.매출액보다 매출원가가 더 높았다는 의미다.올해 1분기의 경우 93.1%의 원가율을 기록해 지난해 1분기 93.8%보다도 하락했다.DL이앤씨의 경우 1분기 원가율이 89.5%로 여전히 90% 아래였지만 지난해 4분기 87.1%와 연간 88.5%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건설사들이 예상에 부합하는 실적을 냈지만 아직 주택건설 경기 지표가 크게 회복되지 않았고,사설 토토 취업일회성 이익 등이 있었던 만큼 2분기 실적 흐름은 예단하기 어렵다.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건설 자회사 현대엔지니어링의 교량 사고 관련 비용 여부는 책임소재 미확정으로 2분기로 넘어갔다"며 "DL이앤씨의 영업이익 가이던스(5200억원) 달성 여부도 2분기에 어렴풋이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건설업계 불황으로 재무건전성에 대한 지적이 강해지는 가운데 부채비율도 눈여겨 볼 지점이다.1분기의 경우 대형 건설사들의 부채비율 흐름은 엇갈렸다.
GS건설의 경우 부채비율이 256.9%로 지난해 말 250% 대비 6.9%포인트(P) 증가했다.HDC현대산업개발은 연결기준 148.6%로 9%P 증가,DL이앤씨는 102.8%로 2.4%P 증가,대우건설은 193.3%로 1.2%P 증가를 기록했다.반면 현대건설은 173.4%로 5.9%P 감소,온라인에서 카지노 (드라마) 보기삼성E&A는 152.6%로 4.4%P 감소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