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Tistory
NO.2: 구글 블로그
NO.3: 네이버 블로그
NO.4: 도토리 동요
NO.5: 도토리도둑
NO.6: 도토리도토리
NO.7: 도토리주
NO.8: 도토리통
NO.9: 토스 도토리
NO.10: 티스토리
NO.11: 티스토리 망함
NO.12: 티스토리 블로그
NO.13: 티스토리 서비스 종료
NO.14: 티스토리 수익
주가 '12분의 1' 토막난 롯데 계열사
가전제품 판매량 8개월째 감소
코로나19 기저효과…TV교체주기 7년
롯데하이마트 주가 9.5만→7000원
LG전자,재고자산 10조 웃돌아
가전 매장인 롯데하이마트 주가는 이른바 '지옥의 계단'이다.2011년 11월에 9만5000원까지 치솟았던 주가는 지난 2일 7500원에 머물렀다.'12분의 1' 토막 나버린 데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19배로 상장사 중 꼴찌 수준이다.롯데하이마트는 물론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생활가전(DA)사업부와 LG전자 등 가전업체도 올 1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냈다.이들 업체 실적이 나빠진 것은 최근 가전제품 판매량이 8개월 연속 감소한 결과로 풀이된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가전제품의 소매판매액은 2조2965억원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4.2% 감소했다.가전제품 소매판매는 백화점,대형마트,아이리쉬 참 슬롯전문소매점,무점포소매(온라인쇼핑) 등에서 매달 가전제품 판매액을 조사해 작성하는 지표다.가전제품 소매판매는 지난해 5월부터 이달까지 8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가전제품의 소매판매는 2022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딱 2번(2024년 1,4월)을 제외하면 매달 감소세를 나타냈다.코로나19 당시에 가전제품 수요가 폭발한 결과의 후폭풍이라는 분석이 많다.코로나19로 집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자 TV와 냉장고,에어컨 등의 판매가 큰 폭으로 늘었다.
2020년 35조5638억원에 그쳤던 가전제품 판매는 2021년 38조2080억원으로 치솟았다.하지만 이후 줄곧 내림세를 보여 2022년 35조8074억원,2023년 32조4203억원,비바 슬롯 라스베가스 무료 동전2024년 30조5086억원을 기록했다.올해는 30조원을 밑돌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통상 가전제품의 교체 주기가 긴 만큼 매수가 몰린 코로나19 직후 판매가 저조하다는 평가가 많다.통상 TV 교체 주기의 경우 7년에 달한다.
가전제품의 판매 부진으로 롯데하이마트와 생활가전 업체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금융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롯데하이마트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172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10배가량 불어날 전망이다.하지만 한 때 영업익 1000억원을 기록한 과거에 비하면 초라한 실적인 데다 순이익은 적자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LG전자 등도 비슷한 양상이다.이 회사의 재고자산은 지난해 말 10조7293억원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전년 말보다 1조6000억원가량 불었다.이 회사는 가전제품 판매 부진 등으로 올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1% 감소한 1조2591억원을 기록했다.올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96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7% 감소할 것으로 집계됐다.그만큼 주가도 부진하다.지난해 7월 11만원을 웃돌았던 이 회사는 주가는 지난 2일 7만600원에 마감했다.
삼성전자의 영상디스플레이(VD)·생활가전(DA)사업부도 상황은 비슷하다.올 1분기 3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0%나 감소했다.
김익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