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슨앤드존슨의 우스테키누맙 성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가 지난해부터 매출이 감소하기 시작했다.존슨앤드존슨은 스텔라라의 빈자리를 최근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 영역을 넓힌 '트렘피어(성분명 구셀쿠맙)'로 메울 것으로 보인다.
스텔라라,올해 초부터 바이오시밀러와 경쟁 시작
스텔라라는 미국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 얀센이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다.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IL)-12·인터루킨-23의 활성을 억제해 면역반응을 조절한다.▲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스텔라라는 2023년 최대 매출인 108억5800만달러를 달성한 후 서서히 내리막을 걷기 시작했다.지난해에는 103억6100만달러(한화 약 15조원)로 4.6%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올해 1분기부터는 매출 감소에 속도가 붙었다.스텔라라의 1분기 매출은 16억2500만달러(한화 약 2조3000억원)로,
프라그마틱 슬롯 작업전년 동기 대비 33.7% 하락했다.
이는 작년 하반기 스텔라라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바이오시밀러와의 경쟁이 시작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지난 1월부터 미국 시장에는 ▲암젠 '웨즐라나' ▲테바·알보텍 '셀라스디' ▲삼성바이오에피스 '피즈치바' ▲셀트리온 '스테키마' 등이 진입한 상태이며,이달 중 동아에스티의 '이뮬도사'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은 만큼,향후 스텔라라의 매출 하락폭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예컨대 피즈치바의 도매 가격은 스텔라라 대비 80% 저렴하다.
스텔라라 빈자리,트렘피어가 메워… 적응증 확대에 추가 성장 기대
스텔라라의 매출 공백은 후속 신약 트렘피어가 채우고 있다.트렘피어는 염증·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터루킨-23을 차단해 관절염을 억제하는 생물학적제제다.국내에서는 ▲판상형 건선 ▲손발바닥농포증 ▲건선성 관절염 치료제로 쓸 수 있다.
트렘피어는 존슨앤드존슨이 다발골수종 치료제 '다잘렉스(성분명 다라투무맙)'와 더불어 자사 의약품 사업부의 성장을 주도했다고 밝힌 품목이다.트렘피어의 올해 1분기 매출은 9억5600만달러(한화 약 1조3500억원)로,전년 동기 대비 18.2% 증가했다.지난해 매출 역시 2023년 대비 16.6% 증가한 36억7000만달러(한화 약 5조2000억원)로 유의미하게 성장했다.
트렘피어는 최근 미국·유럽 시장에서 염증성 장질환(IBD) 치료제로도 적응증을 확대한 바 있어 향후 매출이 더 성장할 전망이다.미국에서는 작년 9월과 올해 3월 각각 궤양성 대장염·크론병 치료제로 승인됐으며,유럽에서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 적응증을 넓혔다.
존슨앤드존슨 호아킨 두아토 CEO(최고경영자)는 "올해 1분기 동안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트렘피어,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리브리반트·렉라자 병용요법 등 의약품이 주요 성과를 달성해 당사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