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겨울간식 월드컵
어제(9일) 재개한 대북 확성기를 오늘(10일)은 가동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해 상황을 관리한다는 방침입니다.
앞서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도 이날 정례 언론브리핑에서 '어제 재개한 대북 확성기 방송을 2시간 만에 중단한 이유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전략적,겨울간식 월드컵작전적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작전을 시행하고 있다"며 "장비의 휴식 등도 고려해야 하고 또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 필요한 시간만큼,필요한 시간대에 작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군이 '융통성 있는 작전'을 언급한 것은 확성기를 언제든 가동할 수 있는 태세는 갖춰놓겠지만,상황을 따져 실제 가동여부는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같은 결정에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어젯밤 담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김 부부장은 오물 풍선 살포 직후 담화에서 "만약 한국이 국경 너머로 삐라(대북전단) 살포 행위와 확성기 방송 도발을 병행해 나선다면 의심할 바 없이 새로운 우리의 대응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며 그러면서 "서울이 더 이상의 대결 위기를 불러오는 위험한 짓을 당장 중지하고 자숙할 것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부 소식통은 "김여정 담화의 톤이 그리 강하지 않다.조준 타격 등 강한 발언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는데 수위를 조절해서 발표한 느낌"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함께 윤석열 대통령이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을 위해 이날 출국한 것도 확성기 가동을 보류한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 순방 기간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수위가 크게 높아지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인 셈입니다.
그러나 북한은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응해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하고 있어 대북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더라도 민간단체가 전단을 보내면 또 오물 풍선을 날려 보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군 당국도 대북 확성기를 다시 가동할 가능성이 크다.일부 민간단체들은 이번 주에도 바람의 방향이 맞으면 대북전단을 보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대통령 순방 기간에 긴장이 고조되는 것은 부담스러운 부분이지만 북한이 강하게 도발한다면 그것이 더 큰 고려 요소"라며 "(확성기 재가동은)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확성기 설치도 아직 완료된 것은 아니다"며 "확성기 설치를 계속해나가고,겨울간식 월드컵우리가 방송을 언제 틀고 하는 문제는 여러 요소를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2018년 4월 남북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에 따라 철거 및 철수되기 전까지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16대가 있었습니다.
이후 창고에 보관됐던 고정식 확성기 일부가 재설치돼 어제(9일) 대북 방송에 활용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