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알이티파크 대 알나스르 통계
“독립운동가 발굴은 나의 책무”
이태룡 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인터뷰
홀로 독립운동가 2000명 포상 신청
연구소 재직하며 총 7035명 신청해
“연구소장 물러나도 이 일은 계속”
79주년 광복절을 이틀 앞둔 지난 13일 찾은 이 소장의 연구소.책상 한쪽엔 포상 신청 관련 서류와 후손들이 보낸 독립운동가의 공적 자료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독립운동가의 후손 개인이 이런 자료를 준비해 포상을 신청하기는 쉽지 않은 터라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이 소장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문의가 쇄도한다.
그간 1400명 넘는 이들이 독립운동 행적을 인정받았지만 이 소장은 자신이 하는 일은 대단한 일이 아니라고 몇 번이나 강조했다.그는 “보람을 느끼려고 하는 일이 아니다.나라를 위해 몸과 마음을 모두 바친 사람들을 누군가는 찾아내서 그 흔적을 인정받도록 해야 한다.그 일이 이번 생에 저에게 주어진 책무”라고 했다.왜 이렇게 의병 관련 연구에 매진하는지를 묻자 그는 “1907년 의병으로 활동했던 5촌 당숙의 이야기를 내내 듣고 자랐던 영향도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정받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에게 항상 더 마음이 쓰인다”고 강조했다.반일 활동을 한 독립운동가는 체포되거나 고문을 당했어도 정확한 사유나 활동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경우가 많다.이에 포상을 신청해도‘적극적인 독립활동 의지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기록이 부족하다’는 등의 이유로 반려될 때가 적지 않다.
처음 독립운동가 포상 신청을 한 건 2008년이었다.그는 그동안 연구했던 자료를 모아‘순국했거나 3년 이상의 징역을 받았지만 포상을 받지 못한 828명의 자료’를 13권의 책으로 만들었고 당시 국가보훈처(현 국가보훈부)에 이 책을 보냈다.2013년 교직에서 물러난 이후 2019년 독립운동사연구소장으로 부임하기 전까지는 홀로 독립운동가를 발굴해 포상 신청을 이어 왔다.
17년 동안 줄기차게 이 길을 걸었는데도 후회가 남아 있을까.그는 “아직도 인정받아야 할 분들이 많이 남아 있다”며 “내 나이가 70세가 다 돼서,알이티파크 대 알나스르 통계예전처럼 이 일을 할 수 없게 될까 봐 그게 아쉬울 뿐”이라고 답했다.71세가 되는 2년 뒤면 연구소장에서 물러날 예정인 그는 “그동안 연구했던 독립운동가들의 자료를 정리해 모두 포상 신청을 하는 게 남은 2년 동안의 목표”라고 했다.이어 “연구소장에서 물러나도 이 일을 그만둘 생각은 없다.함께하는 사람이 없어 지금보다는 더디겠지만,알이티파크 대 알나스르 통계아마 죽는 날까지도 이 일을 하고 있지 않겠나”라며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