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2002 월드컵 안정환 골
김남기 미래에셋운용 ETF운용부문 대표 인터뷰
"대표성,성장성,안전성 갖춘 美시장 투자해야"
"고점 우려할 필요 없어,2002 월드컵 안정환 골일찍·자주가 최고 타이밍“
“몰려가듯 투자 안돼,항상 스스로 투자근거 세워야”
“ETF 시장 경쟁 과열,실질부담 총비용도 고지해야”[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투자에 있어 최고의 타이밍은‘최대한 일찍,자주’하는 것입니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는 1일 서울 종로구 미래에셋자산운용 본사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이처럼 강조했다.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최고 전문가로 손꼽히는 김 대표는 노후 대비를 위한 ETF 투자 전략을 담은‘당신의 미래,ETF 투자가 답이다’출간을 앞두고 있다.
김 대표는 “최근 국내 ETF 시장에 워낙 많은 상품이 출시되고,2002 월드컵 안정환 골유튜브 등에도 투자 정보가 넘쳐나면서 오히려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고 판단했다”며 “그 속에서 정작 시장 전문가가 전해주는 정제된 정보는 찾기 어려워,ETF 투자자들의 길라잡이 역할을 하고 싶단 생각으로 나서게 됐다”고 출간 배경을 밝혔다.
지난 2003년 삼성자산운용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그는 2007년부터 ETF 운용과 상품개발 등의 업무를 맡아왔다.지난 2019년부턴 미래에셋자산운용으로 자리를 옮겨,국내에서 처음으로 현물형 S&P500 ETF 및 최초의 CD금리 ETF에 이어 세계 최초로 타깃프리미엄 전략을 구사하는‘+%프리미엄’ETF 등을 내놨다.
김 대표는 노후를 대비하기 위한 ETF 투자 전략으로,S&P500과 나스닥100과 같은 미국 대표지수 추종 ETF 투자를 제시했다.김 대표는 “미국은 전 세계 주식 시장의 절반을 넘게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라며 “이 같은 대표성뿐 아니라,2002 월드컵 안정환 골혁신을 통해 글로벌 성장을 이끄는 기업들로 구성돼 있어 꾸준히 성장한단 점이 미국 투자에 나서야 하는 이유”라고 밝혔다.그는 미국의 지정학적 안전성도 강조했다.김 대표는 “노후 대비 투자에선 자산의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미국은 지정학적으로 전쟁의 위험이 거의 없다”며 “대표성과 성장성,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미국은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시장”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김 대표는 꾸준한 성장에 대한 믿음이 있다면 투자 타이밍에 대해선 고점이 아닐지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김 대표는 “미국에서 진행된 한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지난 1982년부터 2022년 사이 매번 최고점에서 투자,매번 최저점에서 투자,매달 적립식으로 투자한 경우를 비교했을 때 매달 적립식 투자가 가장 높은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며 “또 매번 최저점에서 매수한 투자자도 장기간 투자를 통해 투자금을 그냥 두거나 예금을 하는 것보단 높은 수익률을 거뒀다”고 전했다.그는 “결국 투자에서 최고의 타이밍은 그 시점을 찾지 않고 가장 빨리,2002 월드컵 안정환 골자주 투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최근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투자가 늘고 있긴 하지만,투자자 스스로 투자 근거를 갖고 나선 투자인지에 대해선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올 들어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가 집중된 주식형 ETF 상위 5개 종목 모두 미국 주식형 상품이 차지할 정도로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는 늘고 있다.김 대표는 다만 “단지 주변에서‘국장은 답이 없고 미국장은 오른다’고 말하니 투자에 나선 것은 아닌지 돌이켜봐야 한다”며 “나 역시 미국 투자를 추천하지만,2002 월드컵 안정환 골이에 대해서도 투자자 스스로 판단해보고 본인에게 맞는 투자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수수료 인하,상품 베끼기 등으로 ETF 시장의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시장 전체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김 대표는 “특정 ETF의 카피캣이 저보수를 내세우면 투자자들이 옮겨가는 현상은 외국 시장에선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는 규모가 작은 카피캣 ETF가 결국 매매비용 등의 기타비용을 모두 합친 총비용 측면에선 더 비쌀 수 있단 걸 투자자들이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그는 “현재 국내에선 ETF의 총보수만 공시되고 있는데 투자자가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총비용에 대해서도 보다 명확한 고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